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5(2); 1998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8;5(2):227-34. Published online: Feb, 1, 1998

The Effects of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on Protein Kinase A and Protein Kinase C Activities in Rat Brain

  • Doo-Won Rheem, MD1;Leen Kim, MD2; and Kwang-Yoon Suh, MD2;
    1;Department of Psychiatry, Kwang-Myung Sung-Ae Hospital, Kyunggido, 2;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Objective:Many evidences suggest that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ave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ir postrecepto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mood stabilizing effect of lithium is exerted by modulating this dysfunctioning system. Carbamazepine, an antiepileptic agent, is also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ipolar disorder. But the precise mechanism of action of the drug is still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possible therapeutic mechanism of carbamazepine.

Method:The effects of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on protein kinase A and protein kinase C activities in frontal cortex of rat brain after 2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Results:Mean(±SE) value of activity(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 of protein kinase A in control and test group was 0.249563±0.036 and 0.539853±0.078, and that of protein kinase C was 0.654817±0.053 and 1.146205±0.052 respectively, being increased in test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enzymes(protein kinase A;p<0.01, protein kinase C;p<0.001).

Conclusion:These results show that chronic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increases protein kinase A and C activities, and concerning the possible mode of therapeutic action in bipolar disorder it is suggested that enhanced enzymes phosphorylate receptor-G-protein-effector complexes to dampen hyperfunctioning neuronal activity and thus stabilize the system.

Keywords Carbamazepine;Protein kinase A;Protein kinase C;Second messenger system.

Full Text

서론
신경 전달 체계에서 2차전령 체계가 알려지기 전까지만 해도 효현제가 수용체에 작용을 하여 어떤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 효현제가 수용체에 작용을 한 뒤 실제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의 소위 ‘수용체 후 신호 전달’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1971년 glucagon과 그 수용체에 의한 신호 전달이 guanosine triphosphate(이하 GTP)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Rodbell 등(1971)이 처음 보고한 후, 이들 수용체 후의 신호 전달자로 G-단백질(GTP-binding regulatory protein, G-protein)이 존재하고(Bokoch 등 1983;Northup 등 1980;Pfeuffer 1977), 이들 G-단백질이 2차전령을 생성하여 세포의 궁극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김영훈과 이상경 1995;백광진 1995;Baraban 등 1989;Hudson 등 1993;Manji 1992). 최근에는 호르몬뿐 아니라 각종 감각자극, 국소 조정자, 신경전달물질등의 신호 전달에도 G-단백질이 신호 전달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백광진 1995).
G-단백질이나 2차전령이 신호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들의 이상으로 인해 질병이 발생하기도 하고, 치료 약물들이 이들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는 사실이 오늘날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Emala 등 1994;Manji 1992). 그 중에서도 동물 실험이나 환자 대상 실험 혹은 사후 부검 등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기분장애의 병태생리에 G-단백질의 기능장애에 기인한 수용체-효과자 반응의 장애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해 주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양극성장애 환자에서는 G-단백질의 기능이 항진되어 있다는 보고들이 많이 있다(Hudson 등 1993;Manji 1992;Schreiber 등 1991;Young 등 1994;Young 등 1991).
한편 양극성장애의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리튬(lithium)이 2차전령 체계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리튬의 작용기전은 과거에는 신경전달물질이나 수용체 혹은 이온 통로 등의 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며, 그 결과들은 너무나 다양하여 일치된 의견을 끌어내기가 힘들 정도였다. 그러나 Manji 등(1991)과 Risby 등(1991)은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항우울제나 항조증 약물이 ‘noradrenergic’ 혹은 ‘serotonergic’ 그 자체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러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생기는 수용체 후 신호 전달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면서, 리튬의 작용을 어느 특정한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관점에서보다는 2차전령 체계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리튬은 2차전령 체계의 일련의 전달 단계 중 G-단백질 수준에서 수용체-효과자 결합을 약화시키거나(Avissar와 Schreiber 1989;Avissar 등 1988;Manji 등 1991;Mork와 Geisler 1989a;Mork와 Geisler 1989b;Risby 등 1991), 혹은 효과자나 2차전령 수준에서 그 활성을 약화시키든지(Batty와 Nahorski 1985;Berridge 등 1989;Berridge 등 1982;Hallcher와 Sherman 1980;Mork와 Geisler 1989c), 아니면 이들 G-단백질이나 2차전령을 조절하는 mRNA에 영향을 미쳐(Colin 등 1991;Li 등 1993) 그 항진된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양극성장애에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다고 주장되고 있다.
이와같이 양극성장애에서 G-단백질을 포함한 2차전령 체계의 기능장애가 발견되고 리튬이 G-단백질 등의 2차전령 체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2차전령 체계의 기능장애를 조절해 주는 기전이 양극성장애의 치료기전일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한편 carbarmazepine은 양극성장애를 비롯한 여러 질병의 치료에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데(Bezchlibnyk-Butler와 Jeffries 1995;McElroy와 Keck 1995), 그 작용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특히 양극성장애에 대한 향정신 효과에 관하여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카바마제핀이 2차전령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리튬의 그것과 비
교해 보는 것도 양극성장애의 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카바마제핀의 작용기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특정 이온 통로나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2차전령 체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인데(Bezchlibnyk-Butler와 Jeffries 1995;McElroy와 Keck 1995;Post 등 1992), 이들 연구 마저도 체계의 전달 단계 중 서로 다른 부위, 즉 G-단백질(Avissar 등 1990;Lesch 등 1991)이나 2차전령(Kodama 1994;Schubert 등 1991), 혹은 mRNA(Li 등 1993) 등 다양한 부위에서 관찰을 한데다 연구 결과도 서로 달라서 현재로써는 일치된 의견이 없는 상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카바마제핀이 2차전령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카바마제핀을 2주간 장기 투여한 후 2차전령 체계의 두 개의 축인 adenylate cyclase(이하 AC) system과 phosphoinositide(이하 PI) system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그 궁극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 각 전달 체계의 최종 단계인 cAMP dependent protein kinase(protein kinase A, 이하 PKA)와 protein kinase C(이하 PKC)를 관찰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백서 25마리에 2주 동안 카바마제핀을 투여한 후 대뇌 피질에서의 PKA, PKC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조건에서 사육하여 카바마제핀을 투여하지 않은 백서 25마리를 사용하였다. 백서는 호르몬의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雄性 백서를 사용하였다.
2. 연구 방법
1) 약물의 투여
카바마제핀을 加溫한 propylene glycol에 녹여 25mg/kg/day를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Albright와 Bruni 1984).
2) 대뇌 피질의 채취
단두대에서 순간적으로 단두한 후 즉시 4℃의 冷房으로 들어가 전두엽 부위의 대뇌 피질을 채취하였다. 단두 후 단두면을 통하여 출혈되는 혈액을 받아서 카바마제핀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3) 효소 시료(試料)의 준비
각 조직 표본을 ice bath에서 파쇄한 후 microcentrifuge로 15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pellet과 상층액을 분리한 뒤 상층액을 soluble fraction으로 사용하였다. Fraction 내의 단백질 농도는 BCA protein assay reagent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Pellet는 1% Triton X-100이 포함된 파쇄 완충액을 사용하여 재현탁한 후 2차로 원심 분리하여(15000rpm, 15분) 상층액을 받아내 이를 membrane fraction으로 사용하였으며, 마찬가지 방식으로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시료의 보관은 -70℃의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4) 효소 활성도의 측정
(1) PKA 측정
PKA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 방식은 제작사의 지시에 따랐다. 간단히 기술하면 10μl의 substrate cocktail, 10μl의 inhibitor cocktail, 10μl의 효소 시료를 micro-centrifuge tube에 넣은 후 [γ-32P]ATP를 함유한 Mg 2+/ATP cocktail을 10μl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시키고 渦動한 뒤, microcentrifuge tube를 30℃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對照로는 기질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substrate cocktail 대신 enzyme dilution buffer를 동량 첨가하였다. 25μl의 반응 혼합물을 P81 phosphocellulose paper에 적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으며 이상의 과정들은 1℃의 ice bath에서 수행되었다. 방사능 표지된 기질이 여과지에 결합되도록 30초간 방치 한 후, 30ml의 0.75% phosphoric acid로 3번 씻어 내고 다시 30ml의 acetone에 5분간 담가 두었다. 그 후 여과지를 5ml의 scintillation cocktail에 첨가하여 기질에 포함된 방사능을 β-counter로 측정하였다.
PKA specific activity(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CPM of substrate-CPM of blank)×(ATP concentration per CPM)}÷{10min×(mg of protein in blotting paper)}(CPM;Counts Per Minute)
조직의 soluble fraction과 membrane fraction에 있는 PKA의 specific activity를 각각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total activity를 구하였다.
(2) PKC 측정
PKC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 방식은 제작사의 지시에 따랐다. 간략히 기술하면 10μl의 substrate cocktail, 10μl의 inhibitor cocktail, 10μl의 lipid activator, 10μl의 효소 시료를 microcentrifuge tube에 첨가하였다. 이때 lipid activator는 1분간 초음파 분해 처리(sonication)하였다. 10μl의 [γ- 32P]ATP를 함유한 Mg 2+/ATP cocktail을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시키고 와동한 뒤, microcentrifuge tube를 30℃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대조 사용 및 그 후의 과정은 PKA 측정과 동일하다.
5) 통계 처리
PKA와 PKC 각각에 대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Student's t-test를 시행하여 비교하였으며, 컴퓨터화된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6) 기구 및 시약
실험에 사용된 기구 및 시약들은 다음과 같다;γ-counter(Packard, 2000CA TRI-CARB), PKA assay kit(UBI), PKC assay kit(UBI), [γ-32P]ATP(Amersham), scintillation cocktail(Packard), BCA microprotein assay reagent(Pierce), 그 외 시약은 모두 Sigma 제품이었다.
결과
실험에 사용한 약물 투여군 25마리의 백서 중 3마리가 도중에 사망하였으며, 하나는 실험 조건을 수립하는데 사용하여 결국 효소 측정에는 21개의 표본이 사용되었다.
실험군 백서에서 단두 시 채취한 혈액 중의 카바마제핀 농도는 평균(±SE) 6.5±0.5μg/ml이었으며(표 1), PKA의 total activity(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평균(±SE) 0.249563±0.036과 0.539853±0.078이었고(표 2), PKC의 total activity(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평균(±SE) 0.654817±0.053과 1.146205±0.052 이었다(표 3).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효소 모두 약물 투여 후에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PKA, PKC에서 각각 p<0.01, p<0.001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표 4).
고찰
임상적으로, 抗癲癎 효과를 가진 약물들이 양극성장애의 일부에서 급성 치료 효과와 예방 효과를 보인다. 그러한 약물들 중 현재 양극성장애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임상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항전간 약물로는 carbamazepine, valproate, phenytoin이 있으며 연구 개발 중인 항전간 약물로는 oxcarbamazepine이 있고, benzodiazepine 계열의 약 중에는 clonazepam과 lorazepam이 치료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McElroy와 Keck 1995).
카바마제핀은 항전간 효과 및 양극성장애에 대한 효과 외에 삼차신경통에 대한 항통증 효과 등 다양한 임상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Bezchlibnyk-Butler와 Jeffries 1995;McElroy와 Keck 1995), 그 중 양극성장애에 대한 효과는 1971년 처음 보고(McElroy와 Keck 1995)된 이래 양극성장애의 혼재성 상태나 단기 순환형 혹은 리튬에 반응이 적은 경우 등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Bezchlibnyk-Butler와 Jeffries 1995;Calabrese 등 1995;McElroy와 Keck 1995). 그러나 많은 임상적 이용에도 불구하고 그 작용 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항전간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과 기분 안정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한 사람들(Motohashi 등 1994;Olpe와 Schmutz 1990)도 있으나, 그 기전들이 서로 다를 것이라는 주장이 더 많다. 그 동안의 연구들에 의하면, 항전간 효과에 관한 기전으로는 type 2 voltage-sensitive sodium channel, peripheral-type benzodiazepine 수용체, potassium channel, calcium, glutamate(NMDA 수용체에 작용), monoamine에 대한 영향 등 다양한 이론들(Kubota 등 1994;Meshki 등 1994;Olpe 등 1985;Post 등 1992;Willow 등 1984)이 거론되었고, 항통증 효과에 관한 기전으로는 대체로 GABAb- 혹은 baclofen-like mechanism에 의견이 일치되고 있으며(Bezchlibnyk-Butler와 Jeffries 1995;McElroy와 Keck 1995;Post 1987;Post 등 1992), 항우울 및 항조증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GABAb antagonism, striatum의 acetylcholine의 증가, dopamine turnover의 감소, norepinephrine의 분비와 CSF norepinephrine의 감소, adenylate cyclase와 guanylate cyclase 활성의 감소, GABA turnover의 감소, D3 수용체를 통한 작용 등이 거론되었다(Post 등 1992;Waldmeier 등 1984).
한편 카바마제핀의 임상적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 경과를 보면, 경련에 대한 효과는 즉시 나타나는데 반해 삼차신경통에 대한 효과는 24∼48시간에 나타나며 기분장애에 대한 효과는 더 늦게 나타난다. 따라서 단기 투여 시 나타나는 생물학적 변화보다는 장기 투여 시 나타나는 변화가 향정신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Post 등 1992), 실제로 Weiss 등(1989)은 카바마제핀의 장기 투여가 요구되는 경련 모형을 만들어 장기적인 효과를 연구한 결과, 단기 혹은 간헐적 투여 때와 장기 투여 때와는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따라 작용하는 기전도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카바마제핀을 장기 투여한 후의 변화를 관찰한 소견들로는 substance P 감수성(sensitivity)과 수치의 증가, GABA turnover의 감소, GABAb 수용체의 증가, 그리고 adenosine 수용체의 증가 등(Post 등 1992)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거의 모두가 어느 특정한 신경전달물질이나 수용체 혹은 이온 통로의 관점에서 관찰한 연구인데 반해, 근래에는 2차전령 체계의 발견과 더불어 그 관점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도 2차전령 체계에 작용한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는데, 그에 관한 기왕의 연구들은 다음 몇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PI system에 관한 것으로 inositol phosphatase를 억제한다는 inositol depletion 가설(Batty와 Nahorski 1985;Berridge 등 1989;Berridge 등 1982;Hudson 등 1993), 둘째는 AC system인 adenylate cyclase를 약화시킨다는 것(Manji 등 1991;Mork와 Geisler 1989b;Mork와 Geisler 1989c;Risby 등 1991), 그리고 셋째는 이 두 system이 공유하고 있는 G-단백질 수준에서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Avissar와 Schreiber 1989;Avissar 등 1988;Hudson 등 1993;Manji 1992;Mork와 Geisler 1989a;Mork와 Geisler 1989b;Schreiber 등 1991;Volont 1988)이다. Avissar와 Schreiber(1989)는 리튬이 Gs(isoprenaline 작용과 관련)와 Gp(carbamylcholine 작용과 관련)을 각각 억제한다는 결과를 보고하면서, 양극성장애의 adrenergic-cholinergic balance 가설의 관점에서 보면 이것이 항조증 효과와 항우울 효과를 모두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마지막 이론은 리튬이 G-단백질이나 2차전령 체계를 조절하는 mRNA 수준에 작용(Colin 등 1991;Lesch 등 1991;Li 등 1993)한다는 것이다.
또한 항우울제와 전기경련치료 그리고 항정신병약물들도 리튬과 마찬가지로 2차전령 체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최 영 등 1992;Avissar 등 1990;Hudson 등 1993 ;Manji 1992).
이처럼 여러 향정신약물에 대해 2차전령 체계의 관점에서의 연구 보고들이 많이 있으며 특히 리튬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매우 풍부한 반면, 카바마제핀의 경우는 각각의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2차전령 체계의 관점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2차전령 체계와 관련된 카바마제핀의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우선 카바마제핀이 diacylglycerol(이하 DAG)을 변화시키지 않았다는 것(Kodama 1994)과, 카바마제핀이 높은 농도에서 PKC를 억제했다는 연구(Morishita와 Watanabe 1994)가 있으나 DAG와 PKC가 PI system의 한 축을 이루는 물질들임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이 둘은 상이한 결과를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Avissar 등(1990)과 Lesch 등(1991)은 G-단백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여 각각 카바마제핀이 Gs, Gi를 억제, 그리고 Gsα와 Giα를 감소시킨다는 비슷한 소견을 보여주었으나, Li 등(1993)은 Gαs, Gαi1, Gαi2 mRNA level에 대한 리튬의 효과가 카바마제핀에는 없다고 하여 그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한 연구(Schubert 등 1991)에 의하면 카바마제핀이 guanylate cyclase를 억제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구들의 결과가 일치되지 않고 있으며 그 수도 적어서 현재로는 공통된 의견은 없는 상태이다.
리튬 치료에 저항하는 경우에 카바마제핀을 사용하는 등 리튬과 카바마제핀의 임상적 적용이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리튬의 작용기전과 관련하여, 약물을 투여한 기간(장기/단기)(Colin 등 1991;Manji 등 1991), 검사 대상이 된 뇌 부위(Mork와 Geisler 1989b;Risby 등 1991), 혹은 투여한 약물의 용량(Batty와 Nahorski 1985;Colin 등 1991)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거나, 2차전령 체계를 오히려 강화시킨다는 등(Chuang 1989;Colin 등 1991;Kodama 1994;Mork와 Geisler 1989b;Volont 1988) 반대되는 소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양극성장애에서 2차전령 체계의 기능 항진이 발견된다는 소견과 그 동안 많이 주장되어 온 리튬의 2차전령 체계 약화 기전에 비추어 저자는 카바마제핀도 어떤 단계에서든 2차전령 체계를 약화시켜 궁극적으로 PKA와 PKC를 억제하지 않을까 예상을 했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놀랍게도 PKA와 PKC 모두에서 그 활성이 증가했으며, 그 차이는 PKA, PKC 모두 2배 정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카바마제핀과 2차전령 체계를 연관시킨 그 동안의 연구들이 비록 그 숫자 자체가 많지는 않다 하더라도 이번 결과를 지지해 주는 것은 없다. 그러나 이번 연구와 결과가 다른 이 전 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Morishita와 Watanabe(1994)의 연구 및 Kodama(1994)의 연구는 약물의 장기 투여 효과를 본게 아니어서 카바마제핀을 투여하는 방법(장기 투여/간헐적 투여/단기 투여)에 따라 상이한 생화학적 결과가 초래된다고 한 Weiss 등(1989)의 주장에 비추어 이번 실험과는 그 결과가 다를 수 있고, 또한 Avissar 등(1990)과 Lesch 등(1991)의 연구에서는 상반되는 작용을 나타내는 Gs와 Gi가 동시에 감소되었을 때 궁극적으로 PKA가 어떻게 영향을 받을 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어 결과를 해석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었다.
반면 리튬에 관한 그 동안의 연구들 중에는 이번 결과를 지지해 주는 것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Mork와 Geisler(1989b)는 리튬이 해마에서 AC 활성을 강화시켰다고 보고하면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이는 리튬이 Gi를 억제하여 나타나는 결과라고 하였고, Colin 등(1991)은 리튬 치료 후 AC에 대한 mRNA와 protein이 증가하고 Giα1과 Giα2에 대한 mRNA와 protein이 감소하였다면서 Giα의 하향 조절과 AC의 상향 조절이 리튬의 작용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Volonte(1988)는 신경 성장 인자와 함께 배양한 세포에서 리튬이 phospholipase C(이하 PLC) 활성도와 GTP binding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관찰하고 이는 리튬이 2차전령을 많이 생성함으로써, 잃어버릴 신호들을 강화시켜 세포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없지만 리튬이 DAG의 축적과 PLC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Kodama 1994)도 있다.
한편 Chuang(1989)은 리튬의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 검토한 후, 리튬이 DAG 축적을 유도하여 PKC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negative feedback regulation에 의해 receptor-G-protein-PLC complex를 인산화시켜 전체적인 신경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용을 나타낸다고 해석을 하였다. 이는 리튬이 2차전령 체계를 강화시켰다는 상기 소견들과 더불어, 카바마제핀이 PKA와 PKC 활성을 증가시킨 이번 연구의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준다. 즉 Chuang의 해석을 근거로 하여 추론해 볼 때, 카바마제핀이 PKA와 PKC 활성을 증가시켜 receptor-G-protein-AC complex나 receptor-G-protein-PLC complex를 인산화시켜 기능 항진 상태에 있는 신경 계통을 안정시킴으로써 기분장애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가능성을 추정할 수있다.
또 한가지 가능한 해석으로 cross-talk 기전(Manji 1992)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리튬이 PI system에 작용하여 PKC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AC system의 Gi나 AC를 인산화시킴으로써 PKA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첫째로 혈중 카바마제핀 농도를 들 수 있겠다. 평균 혈중 농도가 6.5±0.5μg/ml로 나와 치료적 농도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농도에 따른 작용 기전의 차이점을 지적한 연구들에 비추어, 농도를 조절한 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로 이번 연구의 대상 조직이 대뇌의 전두엽 부위로 제한되어 있는데, 부위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보고한 연구들이 있으므로 다른 부위에서의 연구도 필요하겠다. 세째로 이번 연구는 카바마제핀이 야기하는 궁극적인 변화를 보기 위해 2차전령 체계의 마지막 단계인 PKA와 PKC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카바마제핀이 직접 작용을 나타내는 단계는 알 수없으므로 2차전령 체계의 각 단계마다의 변화를 측정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단백질이 α, β, γ의 세 subunit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아형들도 계속 밝혀지고 있어 수백 종의 G-단백질이 조합 가능하기 때문에(백광진 1995), 전체적인 G-단백질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는 어느 특정한 한 종류의 G-단백질 및 그와 연관된 2차전령 체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카바마제핀의 작용기전과 그를 통한 기분장애의 생물학적 기전 이해에 더욱 많은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G-단백질을 포함한 2차전령 체계의 이상이 발견되고 리튬이 이 2차전령 체계에 영향을 미쳐 작용을 나타낸다는 이 전의 연구 결과들이 많이 있다. 한편 항전간 약물인 카바마제핀도 양극성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작용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카바마제핀이 2차전령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기 위해 백서 25마리에 2주일 동안 카바마제핀을 투여한 후 대뇌 전두엽 피질에서의 PKA와 PKC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의 PKA의 평균(±SE) 활성도(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는 각각 0.249563±0.036과 0.539853±0.078로써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
2) 대조군과 실험군의 PKC의 평균(±SE) 활성도(phosphate transfer μmol/mg of protein·min)는 각각 0.654817±0.053과 1.146205±0.052로써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
3) 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활성도의 차이는 두 효소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KA;p<0.01, PKC;p<0.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카바마제핀 장기 투여는 PKA, PKC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그 치료적 작용기전과 관련하여 추론해 볼 때, 활성화된 효소들이 receptor-G-protein-effector complex를 인산화하여 기능 항진 상태에 있는 신경계통을 안정시킴으로써 기분장애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REFERENCES

김영훈·이상경(1995):G-단백질과 G-단백결합 수용체들. 대한정신약물학회지 6:6-19
백광진(1995):G-단백질과 연결된 신호 전달의 분자 구성. 대한의학협회지 38:102-7
최 영·이기영·이형영(1992):향정신성 약물의 Phospholipase C와 Protein Kinase C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항정신병약물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31:837-45
Albright PS, Bruni J(1984):Effects of carbamazepine and its epoxide metabolite on amygdala-kindled seizures in rats. Neurology 34:1383-86
Avissar S, Schreiber G(1989):Muscarinic receptor subclassification and G-proteins:Significance for lithium action in affective disorders and for the treatment of the extrapyramidal side effects of neuroleptics. Biol Psychiatry 26:113-30
Avissar S, Schreiber G, Aulakh CS, Wozniak KM, Murphy DM(1990):Carbamazepine and electroconvulsive shock attenuate β-adrenoceptor and muscarinic cholinoceptor coupling to G-proteins in rat cortex. Eur J Pharmacol 189:99-103
Avissar S, Shreiber G, Danon A, Belmaker RH(1988):Lithium inhibits adrenergic and cholinergic increases in GTP binding in rat cortex. Nature 331:440-2
Baraban JM, Worley PF, Snyder SH(1989):Second messenger systems and psychoactive drug action:Focus on the phosphoinositide system and lithium. Am J Psychiatry 146:1251-60
Batty I, Nahorski SR(1985):Differential effects of lithium on muscarinic receptor stimulation of inositol phosphate in rat cerebral cortex slices. J Neurochem 45:1514-21
Berridge MJ, Downes CP, Hanley MR(1989):Neural and developmental actions of lithium:A unifying hypothesis. Cell 59:411-9
Berridge MJ, Downes CP, Hanley MR(1982):Lithium amplifies agonist-dependent phosphatidylinositol response in brain and salivary glands. Biochem J 206:587-95
Bezchlibnyk-Butler KZ, Jeffries JJ(1995):Clinical Handbook of Psychtropic Drugs. 5th ed, Toronto, Hogrefe & Huber Publishers, pp86-87
Bokoch GM, Katada T, Northup JK, Hewlett EL, Gilman AG(1983):Identification of the predominant substrate for ADP ribosylation by islet activating protein. J Biol Chem 258:2072-5
Calabrese JR, Bowden C, Woyshville MJ(1995):Lithium and the anticonvulsants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Psychopharmacology:The fourth generation of progress, Ed by Bloom FE, Kupfer DJ, New York, Raven Press, pp1099-111
Chuang DM(1989):Neurotransmitter receptors and phosphoinositide turnover. Annu Rev Pharmacol Toxicol 29:71-110
Colin SF, Chang HC, Mollner S, Pfeuffer T, Reed RR, Duman RS, Nestler EJ(1991):Chronic lithium regulates the expression of adenylate cyclase and Gi-protein α subunit in rat cerebral cortex. Proc Natl Acad Sci 88:10634-7
Emala CW, Schwindinger WF, Wand GS, Levine MA(1994):Signal-transducing G-proteins:Basic and clinical implications. Prog Nuc Acid Res Mol Biol 47:81-111
Hallcher LM, Sherman WR(1980):The effect of lithium ion and other agents on the activity of myo-inositol-1-phosphatase from bovine brain. J Biol Chem 255:10896-901
Hudson CJ, Young T, Li PP, Warsh JJ(1993):CNS signal transduction in the pathophysiology and pharmacotherapy of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Synapse 13:278-93
Kodama H(1994):Effect of lithium, carbamazepine and septitiline on diacylglycerol in rat brain ex vivo. Jpn J Psychopharmacol 14:33-8
Kubota T, Jibiki I, Fukushima T, Kurokawa K, Yamakuchi N(1994):Carbamazepine-induced blockade of induction of long-term potentiation in the perforant path-dentate gyrus pathway in chronically prepared rabbits. Neuroscience Lett 170:171-4
Lesch KP, Aulakh CS, Tolliver TJ, Hill JL, Wolozin BL, Murphy DL(1991):Differential effects of long-term lithium and carbamazepine administration on Gsα and Giα protein in rat brain. Eur J Pharmacol 207:355-9
Li PP, Young LT, Tam YK, Sibony D, Warsh JJ(1993):Effects of chronic lithium and carbamazepine treatment on G-protein subunit expression in rat cerebral cortex. Biol Psychiatry 34(3):162-70
Manji HK(1992):G-proteins:Implications for psychiatry. Am J Psychiatry 149:746-60
Manji HK, Hsiao JK, Risby ED, Oliver J, Rudorfer MV, Potter WZ(1991):Mechanism of action of lithium:I. Effects on serotonergic and noradrenergic systems in normal subjects. Arch Gen Psychiatry 48:505-12
McElroy SL, Keck PE Jr(1995):Antiepileptic drugs, In:Textbook of Psychopharmacology, Ed by Schatzberg AF, Nemeroff CB, Washington, The American Psychiatric Press, pp351-76
Meshki Baf MH, Subhash MN, Madepalli Lakshmana K, Sridhara Rama Rao BS(1994):Alterations in monoamine levels in discrete regions of rat brain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carbamazepine. Neurochem Res 19:1139-43
Morishita S, Watanabe S(1994):The direct effect of lithium and carbamazepine on protein kinase C in rat brain. Jpn J Psychiatry Neurol 48:123-6
Mork A, Geisler A(1989a):Effects of GTP on hormone-stimulated adenylate cyclase activity in cerebral cortex, striatum, and hippocampus from rats chronically treated with lithium. Biol Psychiatry 26:279-88
Mork A, Geisler A(1989b):Effects of lithium ex vivo on the GTP-mediated inhibition of calcium-stimulated adenylate cyclase activity in rat brain. Eur J Pharmacol 168:347-54
Mork A, Geisler A(1989c):The effects of lithium in vitro and ex vivo on adenylate cyclase in brain are exerted by distinct mechanisms. Neuropharmacology 28:307-11
Motohashi N, Kubota M, Kariya T(1994):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anticonvulsant and mood-stabilizing effects of carbamazepine? Pharmacopsychiat 27:176
Northup JK, Sternweis PC, Smigel MD, Schleifer LS, Ross EM, Gilman AG(1980):Purification of the regulatory component of adenylate cyclase. Proc Natl Acad Sci 77:6516-20
Olpe HR, Baudry M, Jones RSG(1985):Electrophysiological and neurochemical investigations on the action of carbamazepine on the rat hippocampus. Eur J Pharmacol 110:71-80
Olpe HR, Schmutz M(1990):Carbamazepine in psychiatric indications:Recent findings on its mechanisms of action. Int Clin Psychopharmacol 5(suppl 1):9s-13s
Pfeuffer T(1977):GTP-binding proteins in membranes and the control of adenylate cyclase activity. J Biol Chem 252:7224-34
Post RM(1987):Mechanism of action of carbamazepine and related anticonvulsants in affective illness, In:Psychopharmacology:The third generation of progress, Ed by HY Meltzer, New York, Raven Press, pp567
Post RM, Weiss SRB, Chuang DM(1992):Mechanism of action of anticonvulsants in affective disorders:Comparison with lithium. J Clin Psychopharmacol 12(suppl):23s-32s
Risby ED, Hsiao JK, Manji HK, Bitran J, Moses F, Zhou DF, PotterWZ(1991):Mechanism of action of lithium:II. Effects on adenylate cyclase activity and γ-adrenergic receptor binding in normal subjects. Arch Gen Psychiatry 48:513-24
Rodbell M, Birnbaumer L, Pohl SL, Krans HM(1971):The glucagon-sensitive adenyl cyclase systems in plasma membranes of rat liver. J Biol Chem 246:1877-82
Schreiber G, Avissar S, Danon A, Belmaker RH(1991):Hyperfunctional G proteins in mononuclear leukocytes of patients with mania. Biol Psychiatry 29:273-80
Schubert T, Stoll L, Muller WE(1991):Therapeutic concentrations of lithium and carbamazepine inhibit cGMP accumulation in human lymphocytes:A clinical model for a possible common mecha-nism of action? Psychopharmacology 104:45-50
Volont C(1988):Lithium stimulates the binding of GTP to the membranes of P12 cells cultured with nerve growth factor. Neuroscience Lett 87:127-32
Waldmeier PC, Baumann PA, Fehr B, de Herdt P, Maitre L(1984):Carbamazepine decreases catecholamine turnover in the rat brain. J Pharmacol Exp Ther 231:166-72
Weiss SRB, Post RM, Szele F, Woodward R, Nierenberg J(1989):Chronic carbamazepine inhibits the development of local anesthetic seizures kindled by cocaine and lidocaine. Brain Res 49:72-9
Willow M, Kuenzel EA, Catterall EA(1984):Inhibition of voltage-sensitive sodium-channels in neuroblastoma cells and synaptosomes by the anticonvulsant drugs diphenylhydantoin and carbamazepine. Mol Pharmacol 25:228-34
Young LT, Li PP, Kamble A, Siu KP, Warsh JJ(1994):Mononuclear leukocyte levels of G proteins in depresse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m J Psychiatry 151:594-6
Young LT, Li PP, Kish SJ, Siu KP, Warsh JJ(1991):Postmortem cerebral cortex Gs α-subunit levels are elevated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Brain Res 553: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