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6(1); 1999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9;6(1):102-10. Published online: Jan, 1, 1999

A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Geriatric Version in Korea

  • Jin-Sook Cheon, MD1;Byoung-Hoon Oh, MD2; and Young-Tai Choi, MD3;
    1;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usan, 2;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Seoul, 3;Department of Psychiatry, Pusan Dong In Hospital, Pusan, Korea
Abstract

Objectives:The alcohol dependence in elderly people has been prevalent because of increase in geriatric popul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lcohol dependence in the aged, because they have less specific clinical features as compared with adult alcoholic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creen alcohol dependence among elderly Koreans and to kn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elerly alcoholics.

Methods:The questionnaires translated into Korean such as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MAST-K), the Brief MAST and the MAST-Geriatirc Version(MAST-KG) were used to screen alcohol dependence in the elderly alcoholic inpatients aged over 60(N=43), adult alcoholic inpatients within 20-59 Yrs of age(N=60), which were compared with age matched normal healthy aged(N=18) or adult controls(N=45). The demographic data such as sex, age, education, occupation, socio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numbers of children, dwelling and religion as well as alcohol history such as duration of alcohol drinking, onset age, family history, impulsivity, somatic illness and motivation were also obtained to identify characteristic features of Korean aged alcoholics by structured interviews.

Results:1) The aged alcoholics had the charateristic features of more in males, lower age, low education levels, more in blue-collar workers, lower socioeconomic class, more in single, few babies, more living alone, having no relig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2) The onset age of alcohol depen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ed alcoholics(45.3±13.6Yrs) than in the adult alcoholics(27.7±8.7Yrs)(p<0.0001). The duration of problematic alcohol drinking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aged alcoholics(22.0±15.1Yrs) than in adult alcoholics(14.2±8.4Yrs)(p<0.01). Otherw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d and adult alcoholics in the family history, imulsivity, somatic illness and motivation. 3) The mean score of the MAST-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ed alcoholics(20.6±5.4) than in the normal aged(6.7±4.4)(p<0.0001),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adult alcoholics(26.2±8.0) and in normal adult controls(9.5±3.2)(p<0.05). The mean score of the Brief MAS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ged alcoholics(9.3±3.5) than in the adult alcoholics(14.5±6.6)(p<0.0001). The mean score of the MAST-K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ed alcoholics(10.6±3.5) than in the normal aged(4.8±4.3)(p<0.0001). The form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adult alcoholics(12.9±4.3)(p<0.005), and the mean score was 4.5±2.8 in normal adult controls. 4) The item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d alcoholics and normal aged controls could be found in 10 items of the MAST-K(items 2, 3, 4, 5, 11, 14, 17, 21, 22 and 23), 2 items of the Brief MAST(items 2 and 9), and 7 items of the MAST-KG(items 6, 13, 18, 19, 22, 23 and 24)(p<0.01).

Conclusions:The scores of the MAST-K, the Brief MAST and the MAST-KG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ged alcoholics than those in the adult alcoholics(p<0.05).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d alcoholics and normal aged controls could be found in 10 items of the MAST-K, 2 items of the Brief MAST and 7 items of the MAST-KG. Therefore, a briefer rating scales around 10 items are needed to screen alcohol dependence among Korean elderly people.

Keywords Aged alcoholics;Onset age;MAST-K;The Brief MAST;MAST-KG.

Full Text

서론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발생율은 적게는 3∼4%에서부터 많게는 10% 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Blazer 등(1987)은 미국의 한 주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921명을 대상으로 주정남용 또는 주정의존의 발생 빈도를 조사한 결과 농촌 거주자의 4.2%와 도시 거주자의 2.6%에서 문제있는 음주를 나타내고 있었다. Gambert(1997)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인구군의 15%가 과음하나 그들의 주정의존 문제는 흔히 자신의 주치의에게 감춰진다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Holroyd와 Duryee(1997)는 노인정신과 외래 환자의 8.6%에서 주정의존의 발생빈도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Schuckit(1977)는 노인의 2∼10%가 주정의존 환자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신과 의사에게 진찰받으러 내원한 노인 환자의 15% 이상이 주정의존이라고 보고하였다(Schuckit 1982). Schuckit와 Miller(1976)는 내과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중 18%가 주정의존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성인 주정의존 환자보다도 노인 환자에 대한 관심은 많지 않았으며, 한국에서는 발생 빈도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형편이다.
노인의 주정의존에 관한 연구는 여러 이유로 인해서 성인 주정의존의 경우보다 어려운 점이 더 많다. 노령기의 주정의존 환자는 성년기 주정의존 환자와 여러 측면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고 노인에서는 신체질환 및 우울증이 증가하므로 노인에서 알코올에 의한 영향은 더욱더 의학적 문제를 배가시키며, 주정의존 그 자체의 문제가 흔히 간과되기가 쉽고, DSM-Ⅳ(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진단기준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여러 기존의 진단기준을 적용시키기에는 문제가 많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겠다. 첫째,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문제도 증가되고 있으므로 그 발생빈도를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주정의존 환자는 성인주정의존 환자가 보이는 전형적인 임상양상과는 다른 점이 많아서 흔히 오진의 소지가 높으므로, 분명한 주정의존으로 정신과의사에게 치료받는 노인 환자의 특성을 잘 살펴봄으로써 성년기 주정의존과 다른점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주정의존의 유무 및 심한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진단도구들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많이 지니고 있는 노인 환자에게 적용하는데 무리가 많다. 그러므로 한국노인에 있어서 주정의존의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전초단계로서 숨겨진 노인 주정의존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한국 문화권에 맞는 노인용 주정의존 평가도구가 새로이 개발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둘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주정의존 진단도구들로 예비연구를 시행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 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특성이 반영된, 한국 문화권에 적합한 새로운 노인용 주정의존 선별검사 문항을 새로이 개발하기 위한 자료를 얻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997년 4월 초부터 1998년 3월말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경정신과, 연세대학교 광주세브란스정신병원, 부산동인병원에 DSM-Ⅳ에 의거하여 주정의존으로 입원한 만 60세 이상의 남녀환자 43명을 노인주정의존군으로 정하였으며, 만 20세∼59세 이하의 남녀환자 60명을 성인주정의존군으로 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만 60세 이상의 신경학적 질환, 내과적 질환 또는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녀노인 18명을 정상노인대조군으로 선택하였으며, 만 20∼59세 이하의 신경학적 질환, 내과적 질환 또는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녀 성인 45명을 정상성인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평균연령은 노인주정의존군 65.5±5.6세, 정상노인대조군 72.3±5.8세, 성인주정의존군 42.0±7.9세, 정상성인대조군 36.2±10.1세였다. 성별분포(남자/여자)는 주정노인군 41명/2명, 정상노인군 11명/7명, 주정성인군 59명/1명, 정상성인군 27명/18명이었다.
2. 연구방법
만 60세 이상의 정상노인군(N=18)과 노인주정의존군(N=43), 만 20∼59세 이하의 정상성인군(N=45)과 성인주정의존군(N=60) 등 네군을 대상으로 25문항으로된 ‘한국판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Korean Version, 이하 MAST-K)’(장환일과 전진숙 1985), 저자들이 국문으로 번역한 10문항의 ‘간이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The Brief MAST)’(부록 1), 그리고 또한 저자들이 국문으로 번역한 24문항의 ‘노인용 미시간 주정의존 선별검사(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Geriatric Version)’(부록 2)를 실시하여 네군간의 평균점수 및 각 문항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동시에 한국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 일반사항(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경제상태, 결혼상태, 자녀, 주거상태, 종교 등)과 음주력(음주기간, 초발연령, 가족력, 충동공격성, 신체질환, 음주동기 등)을 조사하여 네군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얻어진 자료들에 대한 통계처리는 Minitab Release 6.1.1.-표준판(Minitab사 1987) 및 SPSS for Windows Release 5.0.1(SPSS사 1989∼1992)을 사용해서 통계분석을 하였다. 정상노인군과 노인주정의존군간에 일반사항의 차이는 χ2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고, 성인주정의존군과 노인주정의존군간에 음주력과 음주동기의 차이는 양측 t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다. 정상노인군과 노인주정의존군간에 The Brief MAST, MAST-K, MAST-KG의 각 항목별 차이는 χ2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으며, 상기한 세가지 검사 각각에 대한 네 연구대상군간의 차이는 일원분산분석(ANOVA)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고, 일원분산분석에서 p<0.05인 집단에 대해서 다시 Scheff의 다중비교검정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다.
결과
1. 한국 노인주정의존군의 역학적 특징
남녀비는 노인주정의존군이 18.5:1로서 정상노인군(1.6:1)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교육수준은 노인주정의존군(54.1%)에서 정상노인군(46.2%)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직업도 정상노인군(66.7%) 보다 노인주정의존군(83.3%)에서 노동이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표 1).
사회경제상태는 정상노인군(41.7%) 보다 노인주정의존군(59.5%)에서 하류층이 더 많았으며, 결혼상태는 정상노인군(0.0%) 보다 노인주정의존군(19.4%)에서 혼자인 경우가 더욱 많았고, 자녀수가 두명 이하인 경우도 정상노인군(27.8%) 보다 노인주정의존군(40.5%)에서 더 많았다(표 1). 거주상태는 정상노인군 모두가 가족과 같이 살고있는데 반해서 노인주정의존군은 22.9%가 홀로 살고 있었으며, 정상노인군의 70.6%가 종교를 갖고있는데 반해서 노인주정의존군은 50.0%가 종교를 갖고있지 않았다(표 1). 그러나 상기한 일반사항에 있어서 양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을 요약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노인주정의존군은 정상노인군보다 남자의 비율이 좀더 높고, 좀더 나이가 적고, 무학이나 국졸이하가 더 많고, 무직이나 노동직이 더 많고, 좀더 경제적으로 가난하고, 결혼상의 문제(이혼, 별거, 사별, 미혼 등)가 더 많고, 자녀는 없거나 두명 이하로 더 적었으며, 혼자살고, 종교는 갖고있지 않는 경향이 좀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2. 한국 노인주정의존군의 음주력과 음주동기
음주력상 초발연령은 노인주정의존군(45.3±13.6세)이 성인주정의존군(27.7±8.7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음주기간도 노인주정의존군(22.0±15.1년)이 성인주정의존군(14.2±8.4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었다(p<0.01)(표 2). 주정의존이나 주정남용의 가족력은 성인주정의존군(43.1%) 보다 노인주정의존군(30.3%)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충동공격성은 성인주정의존군(49.1%) 보다 노인주정의존군(50.0%)에서 약간 더 높았고, 신체질환은 성인주정의존군(59.1%)이 노인주정의존군(40.7%) 보다 약간 더 많았다(표 2). 그러나 양군간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음주동기는 노인주정의존군과 성인주정의존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노인주정의존군에서는 심심해서가 35.9%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가족내문제(15.4%), 일이 힘들어서(10.3%), 직장내 스트레스(10.3%), 우울해서(10.3%), 신체질환(5.1%), 남과 어울리기 위해서(5.1%) 순이었다(표 3).
3. 선별도구를 사용한 한국 노인주정의존의 평가
세가지 주정의존의 선별도구를 사용하여 얻은 점수의 평균은 표 4와 같다(표 4). 즉, MAST-K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20.6±5.4점)에서 정상노인군(6.7±4.4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이는 각각 성인주정의존군(26.2±8.0점)과 정상성인군(9.5±3.2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The Brief MAST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9.3±3.5점)에서 성인주정의존군(14.5±6.6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MAST-KG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10.6±3.5점)에서 정상노인군(4.8±4.3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전자는 성인주정의존군(12.9±4.3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05), 정상성인군은 4.5±2.8점이었다.
정상노인군과 노인주정의존군을 대상으로 시행한 세가지 주정의존 선별도구의 각 문항별 응답점수를 비교해서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항목만을 나열하면 표 5와 같다(표 5). 즉, 노인주정의존군은 정상노인군보다 MAST-K의 10문항(문항2, 문항3, 문항4, 문항5, 문항11, 문항14, 문항17, 문항21, 문항22 및 문항23), The Brief MAST의 2문항(문항2와 문항9), 그리고 MAST-KG의 7문항(문항6, 문항13, 문항18, 문항19, 문항22, 문항23 및 문항2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상을 요약하면, 노인주정의존군은 성인주정의존군보다 MAST-K, The Brief MAST 및 MAST-KG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으며(p<0.05), 정상노인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MAST-K 10문항, The Brief MAST 2문항, 그리고 MAST-KG 7문항에서 나타났으므로, 따라서 노인에서는 10문항 이내의 좀더 간략한 주정의존식별용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찰
노인에서 음주는 감소하고, 따라서 젊은이에서의 음주보다 덜 관심를 끌었다. 그러나 최근의 여러 보고들은 노인 인구군에서 음주문제가 증가함을 시사한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에서 주정의존의 발생빈도는 약 2∼10%로 알려졌으며(Schuckit 1977), Gambert(1997)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15%가 과음한다고 보고하였다. Bridgewater 등(1987)은 60세 이상된 남자 23%, 여자 11%에서 주정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ILiffe 등(1991)은 일반의에 등록된 환자중 3%가 주정문제를 보이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의학적 치료를 위해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사이에서 주정의존의 빈도는 좀더 높아서 약 10∼15%를 점유하며, 종합병원내과 및 외과에 입원하는 노인 환자에서 주정의존의 평생유병율은 약 20%에 해당한다(Schuckit 1977).
노인주정의존은 40세 이전에 음주문제가 초발하여 이들이 나이든 조발형(early-onset, 이하 EO)과 41세 이후에 내과적 문제나 환경적 곤란에 대한 반응으로서 노인에 주정의존이 되는 만발형(late-onset, 이하 LO)으로 아형을 나눌 수 있으며, 또한 기질성뇌증후군의 유무를 기초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LO의 30%와 EO의 11%는 기질성뇌증후군을 지닌다(Schuckit와 Miller 1976). Hurt 등(1988)은 65세 이상의 노인 주정의존자에서 EO는 남자의 59%, 여자의 51%에서 볼 수 있었고 LO는 남자의 39%, 여자의 46%에서 볼 수 있었는데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Finlayson 등(1988)은 주정의존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중 EO가 56%, LO는 41%로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의 동기로서 LO군은 정년퇴직과 배우자의 사망 등이 가장 많았고, EO군은 내과적 또는 건강문제가 가장 많다고 보고하였다.
노년기 주정의존에서 흔히 간과되고 있는 문제로서는 진단 및 예후에 적용할 때에 노화하는 대사 및 신경계와 생리적인 상호작용, 노인에서만이 유일한 주정의존의 초발과 경과의 특징, 노인주정의존자의 나이와 성별에 관계된 특별한 문제들 등이다(Beresford 1995). Wiberg 등(1970)은 흰쥐의 복강내 주정 투여시 뇌와 혈중 주정 농도는 노령의 흰쥐에서 훨씬 높으며, 배설은 좀더 느리므로 노령의 흰쥐는 주정중독의 소지가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노인 주정의존 환자는 좀더 많이 나쁜 인생사, 만성적인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의 결여를 경험한다는 보고(Brennan과 Moos 1990)가 있으며, Welte와 Mirand(1995)는 노년기에 초발한 과다음주는 정년퇴직이나 사별 등의 스트레스와 관계되며, 특히 사회적 지지가 불충분할 때 더욱 그렇다고 보고하였다. Glynn 등(1985)은 남자노인은 성인남자 보다 음주를 덜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술에 대한 내성의 감소로 인해서 사교적 음주 형태로 변화되기 때문에 45세 이후에 주정의존이 호전된다는 보고도 있다(Nordstrm과 Berglund 1987). 주정의존의 DSM-Ⅳ 진단은 병적인(과다한) 사용과 사회기능 또는 직업기능에서 장애의 근거를 요구한다. 알코올의 병적 효과에 대한 좀더 느린 대사와 증가된 조직감수성은 노인에서 양적인 관점에서 과다한 사용이라고 정의하는 데에 어려움을 낳게 한다. 감소된 직업적 요구, 그리고 노인 환자는 사회 및 환경적 지지에 의해 보호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알코올-관계된 기능적 장애를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성인주정의존자의 음주행위는 노인 환자보다 좀더 다양하며(O'Leary 등 1979), 노인 주정의존 환자는 젊은이보다 매일 단위로 음주하는 경향이 더 많다. 그러나 그들의 매일 섭취량은 좀더 낮다.
알코올은 직접적인 독작용 뿐만아니라 이러한 독작용을 증가시키는 다른 약물과의 병용 때문에 노인에서 건강에 중요한 위험이 되고 있다. 노인에서 신체질환의 증가와 더불어 알코올은 다른 내과적 상태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노인에서 발견되지 않은 알코올 사용이 더욱 문제를 야기시킨다(Bucholz 등 1995). 이미 정상노화 및 질병으로 인해서 생리적, 정서적, 신체적 보유력이 감소된 노인에게 있어서 음주는 상당히 중요한 결과를 초래하며, 질병 뿐만아니라 주정의존은 정상적인 노화에 연관된 생리적 기능의 하강을 촉진시킨다(Gambert와 Katsoyannis 1995).
비록 노인기에 초발하는 주정의존이 양성의 사회적 경로를 밟는다해도, 그들은 악성의 내과적 경과를 지닌다. 노인 주정의존 환자는 위장관, 심장 및 폐 질환, 낙상, 그리고 치매 등에 대한 위험과 더불어 사망율이 높아진다. 또한 이차적인 우울증과 치매 양자의 위험이 높다. 노인기 주정의존은 악화와 완화로 특징지어진다. 예후는 금주하는 주정의존 환자에서 호전되며, 따라서 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노인주정의존의 역학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65세된 건강한 노인에서 음주는 남자, 수입, 교육수준, 인지상태와 순상관 관계, 연령에 역상관 관계가 있었다(Goodwin 등 1987). 노인에서 주정남용 또는 주정의존의 발생율은 별거나 이혼한 환자,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욱 많으며, 수입과는 반비례한다는 보고도 있다(Bucholz 등 1995). Smart와 Adlaf(1988)는 노인에서 남자가 더 음주가 빈번하고, 가족의 크기와 연령은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주정의존의 가족력이 있는 노인 환자군은 더욱 심한 내과적, 사회적, 법적 문제를 지니며, 낮은 사회경제 상태를 지닌 대가족, 좀더 정신병리가 많고, 좀더 심한 신체적 증상, 교육수준이 더 낮고, 덜 안정된 직업을 지녔으며, 좀더 증상이 심하고, 반사회적 행동이 더 많다(Frances 등 1980). Cook와 Winokur(1985)도 가족력 있는 일차성 노인주정의존자는 초발연령이 더 이르고, 남자에서 더 많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남자에서 더 많고, 교육수준이 더 낮았으며, 직업이 덜 안정되었고, 더 가난하였으며, 가족의 수가 더 적었다. 또한 표본의 수가 적었으므로 EO군과 LO군으로 나눠서 비교 검토해 보지는 않았으나 평균 초발연령이 45.3세로서 LO군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좀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예상과는 달리 가족력, 충동공격성, 신체질환, 음주동기에 있어서는 성인주정의존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주정의존의 특징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주정의존의 고전적인 증후는 흔히 노인에서는 자명하지 않으며, 대신 혼동, 위생불량, 낙상, 뇨실금, 근육병변, 영양결핍, 우연한 저체온 등과 같은 덜 특이적인 양상으로 표현된다(Katz 등 1988). 이러한 증상들은 치매나 신체질환에 이차적인 기능적 장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오진될 수 있다. 주요문제가 일탈적인 또는 편집증적인 행동, 가족내 어려움이나 소원함을 포함할 때는 일차적인 주정의존이 다른 정신장애로 혼동될 수도 있다. 젊은이에서와 같이 노인에서 주정의존의 5∼15%는 다른 선재하는 정신장애-일차적으로 우울증에 이차적이다. 우울증에서 급성 정신증적 상태에 이르는 정신병리로 정신과를 찾는 노인 환자중 15% 이상이 주정의존이며, 주정 관계된 문제로 응급실에 오는 환자의 10%는 60세 이상이다(Schuckit 1982). 노인에서 늦게 초발하는 주정의존은 좀더 우울증에 이차적인 경향이 많으며, 주정은 노인 주정의존자의 우울증과 자살율을 증가시킨다(Eckardt 등 1981). Saunders 등(1991)도 65세 이상의 지역사회 표본에서 5년동안 과음의 기왕력이 있는 남자 노인은 정신장애의 위험이 5배 이상 높다고 보고하였다.
선별도구를 사용한 한국 노인주정의존의 평가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DSM-Ⅳ 진단기준을 사용할 경우 4명의 노인 환자중 3명은 주정의존이 간과되므로(Beresford 등 1988) 이를 적용하기에 문제가 많은 외에도, 기존에 주정의존 선별검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던 여러 평가도구들도 노인에서는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보고들이 많다(Beresford 1995). MAST는 미국에서 4점 이상이면 ‘주정의존 가능’으로 평가되는, 상당히 신빙성있고 타당도가 높으며 나이에 의해 점수가 별로 영향받지 않는다(Favazza와 Cannell 197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군에 대해서도 MAST를 시행한 결과, 장환일과 전진숙(1985)이 한국 성인주정의존군의 절취점을 19점이상으로 발표한 것에 비해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주정의존군의 절취점은 15점으로 성인에 비해 더 낮았다.
한편 The Brief MAST에서 한국 노인주정의존군의 절취점은 6점 이상으로서 한국 성인주정의존군의 8점 이상에 비해서 더 낮았다. 일반 종합병원 인구군에서 CAGE 질문서는 주정의존을 선별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졌으나, 60세 이상에서는 적합치 않다(Beresford 등 1990). Mayfield 등(1974)도 CAGE 질문서는 MAST에 비해 시행하기에는 간편하나 주정의존의 탐색에는 민감하지 않으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GE 질문서는 시행하지 않았다. CAGE, MAST 등 간략한 선별검사를 실시한 결과 주정의존에 대한 감수성은 노인의 경우 모두 단지 60%에 불과하였으며, CAGE는 MAST 보다 좀더 높은 특이성을 보였고, CAGE 질문서는 70세 이상의 노인에서는 이 중 제일 민감하였으므로, 이러한 보고들은 좀더 나이에 특이적인 민감도가 높은 선별도구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Blow 등(1992)은 나이에 특이적인 선별검사를 개발하였는데,‘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Geriatric Version(이하 MAST-G)’로 명명한 이 새로운 선별검사는 감수성 93.9%, 특이성 78.1%, 양성예측치 87.2%, 음성예측치 88.9%로서 비교적 노인 주정의존 환자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MAST-G는 미국에서 5점 이상이면 주정문제를 제시한다고 보고되었는데(Beresford 1995),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주정의존군에서 7점이 절취점으로 적합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므로 미국보다 점수가 약간 더 높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25문항으로된 ‘한국판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Korean Version, 이하 MAST-K)’(장환일과 전진숙 1985), 저자들이 국문으로 번역한 10문항의 ‘간이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The Brief MAST)’(Pokorny 등 1972), 그리고 또한 저자들이 국문으로 번역한 24문항의 ‘노인용 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Geriatric Version)’(Blow 등 1992)를 연구에 사용하여 한국 노인에서 주정의존의 선별에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 비교 평가하고, 또한 한국 노인에 더욱 적합한 새로운 문항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서는 표본의 크기가 작고, 표본의 선택 수집과정에서 무작위추출이 아니었으며, 타당도의 평가 면에서 미흡하였으므로,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여 잘 고안된 역학적 연구가 후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리라 본다.
결론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수도 증가일로에 있음을 여러 역학 조사들은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 주정의존 환자보다도 노인 환자에 대한 관심은 많지 않았으며, 한국에서는 발생 빈도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형편이다. 노인의 주정의존에 관한 연구는 여러 이유로 인해서 성인 주정의존의 경우보다 어려운 점이 더 많다. 노인에서는 신체질환 및 우울증이 증가하므로 노인에서 알코올에 의한 영향은 더욱더 의학적 문제를 배가시키며, 주정의존 그 자체의 문제를 가리기 쉽다. 따라서 저자들은 한국 노인에 있어서 주정의존의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전초 단계로서 우선 숨겨진 노인 주정의존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본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만 60세 이상의 정상노인군(N=18)과 노인주정의존군(N=43), 만 20∼59세 이하의 정상성인군(N=45)과 성인주정의존군(N=60) 등 네군을 대상으로 25문항으로된 한국판 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MAST-K), 저자들이 국문으로 번역한 10문항의 간이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The Brief MAST) 및 24 문항의 한국노인용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MAST-KG)를 실시하여 네군간의 평균점수 및 각 문항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동시에 한국노인 주정의존 환자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 일반사항(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경제상태, 결혼상태, 자녀, 주거상태, 종교 등)과 음주력(음주기간, 초발연령, 가족력, 충동공격성, 신체질환, 음주동기 등)을 조사하여 네군간의 차이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1)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노인주정의존군은 정상노인군보다 남자의 비율이 좀더 높고, 좀더 나이가 적고, 무학이나 국졸이하가 더 많고, 무직이나 노동직이 더 많고, 좀더 경제적으로 가난하고, 결혼상의 문제(이혼, 별거, 사별, 미혼 등)가 더 많고, 자녀는 없거나 2명이하로 더 적었으며, 혼자살고, 종교는 갖고있지 않는 경향이 좀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2) 음주력상 초발연령은 노인주정의존군(45.3±13.6세)이 성인주정의존군(27.7±8.7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음주기간도 노인주정의존군(22.0±15.1년)이 성인주정의존군(14.2±8.4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었다(p<0.01). 이 외에 가족력, 충동 공격성, 신체질환, 음주동기 등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MAST-K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20.6±5.4점)에서 정상노인군(6.7±4.4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이는 각각 성인주정의존군(26.2±8.0점)과 정상성인군(9.5±3.2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The Brief MAST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9.3±3.5점)에서 성인주정의존군(14.5±6.6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MAST-KG의 평균점수는 노인주정의존군(10.6±3.5점)에서 정상노인군(4.8±4.3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전자는 성인주정의존군(12.9 ±4.3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05), 정상성인군은 4.5±2.8점이었다.
4) 노인주정의존군은 정상노인군보다 MAST-K의 10문항(문항2, 문항3, 문항4, 문항5, 문항11, 문항14, 문항17, 문항21, 문항22 및 문항23), The Brief MAST의 2문항(문항2와 문항9), 그리고 MAST-KG의 7문항(문항6, 문항13, 문항18, 문항19, 문항22, 문항23 및 문항2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주정의존군은 성인주정의존군보다 MAST-K, The Brief MAST 및 MAST-KG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으며(p<0.05), 정상노인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MAST-K 10문항, The Brief MAST 2문항, 그리고 MAST-KG 7문항에서 나타났으므로, 따라서 노인에서는 10문항 이내의 좀더 간략한 주정의존식별용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REFERENCES

장환일·전진숙(1985):한국에서 Michigan 주정의존 선별검사의 적용에 대한 예비조사. 신경정신의학 24:46-5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Substance-related disorders. In: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175-272
Beresford TP(1995):Alcoholic elderly:prevalence, screening, diagnosis, and prognosis. In:Alcohol and Aging. Ed by Beresford T, Gomberg 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18
Beresford TP, Blow FC, Brower KJ, Adams KM, Hall RCW(1988):Alcoholism and aging in the general hospital. Psychosomatics 29:61-72
Beresford TP, Blow FC, Hill E, Singer K, Lucey MR(1990):Comparison of CAGE questionnaire and computer-assisted laboratory profiles in screening for covert alcoholism. Lancet 336:482-485
Blazer D, Crowell BA Jr, George LK(1987):Alcohol abuse and dependence in the rural south. Arch Gen Psychiat 44:736-740
Blow FC, Brower KJ, Schulenberg JE, Demo-Dananberg LM, Young JS, Beresford TP(1992):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Geriatric Version(MAST-G):A new elderly specific screening instrument. Alcoholism Clin Exp Res 18:196-201.
Cited from Beresford TP(1995):Alcoholic elderly:prevalence, screening, diagnosis, and prognosis. In:Alcohol and Aging. Ed by Beresford T, Gomberg 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18
Brennan PL, Moos RH(1990):Life stressors, social resources, and late-life problem drinking. Psychol Aging 5:491-501
Bridgewater R, Leigh S, James OFW, Potter JF(1987):Alcohol consumption and dependence in elderly patients in an urban community. Brit Med J 295:884-885
Bucholz KK, Sheline YI, Helzer JE(1995):The epidemiology of alcohol use, problems, and dependence in elders:a review. In:Alcohol and Aging Ed by Beresford T, Gomberg 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9-41
Cook BL, Winokur G(1985):A family study of familial positive vs. familial negative alcoholics. J Nerv Ment Dis 173:175-178
Eckardt MJ, Harford TC, Kaelber CT, Parker ES, Rosenthal LS, Ryback RS, Salmoiraghi GC, Vanderveen E, Warren KR(1981):Health hazard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JAMA 246:648-666
Favazza AR, Cannell B(1977):Screening for alcoholism among college students. Am J Psychiat 134:1414-1416
Finlayson RE, Hurt RD, Davis LJ Jr, Morse RM(1988):Alcoholism in elderly persons:a study of the psychiatric and psychosocial features of 216 inpatients. Mayo Clin Proc 63:761-768
Frances RJ, Timm S, Bucky S(1980):Studies of familial and nonfamilial alcoholism, I. demographic studies. Arch Gen Psychiat 37:564-566
Gambert SR(1997):Alcohol abuse:medical effects of heavy drinking in late life. Geriatrics 52:30-37
Gambert SR, Katsoyannis KK(1995):Alcohol-related medical disorders of older heavy drinkers. In:Alcohol and Aging. Ed by Beresford T, Gomberg 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70-81
Glynn RJ, Bouchard GR, LoCastro JS, Laird NM(1985):Aging and generational effects on drinking behaviors in men:result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Am J Public Health 75:1413-1419
Goodwin JS, Sanchez CJ, Thomas P, Hunt C, Garry PJ, Goodwin JM(1987):Alcohol intake in a healthy elderly population. Am J Public Health 77:173-177
Holroyd S, Duryee JJ(1997):Substance use disorders in a geriatric psychiatry outpatient clinic:prevalence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J Nerv Ment Dis 185:627-632
Hurt RD, Finlayson RE, Morse RM, Davis LJ Jr(1988):Alcoholism in elderly persons:medical aspects and prognosis of 216 inpatients. Mayo Clin Proc 63:753-760
Iliffe S, Haines A, Booroff A, Goldenberg E, Morgan P, Gallivan S(1991):Alcohol consumption by elderly people:a general practice survey. Age Ageing 20:120-123
Katz IR, Curlik S, Nemetz P(1988):Functional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elderly. In:Essentials of Geriatric Psychiatry,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Ed by Lazarus LW, Jarvik LF, Foster JR, Lieff JD, Mershon SR,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pp113-137
Mayfield D, McLeod G, Hall P(1974):The CAGE questionnaire:validation of a new alcoholism screening instrument. Am J Psychiat 131:1121-1123
Nordstr{0f6}m G, Berglund M(1987):Ageing and recovery from alcoholism. Brit J Psychiat 151:382-388
O'Leary MR, Speltz ML, Donovan DM, Walker RD(1979):Implicit preadmission screening criteria in an alcoholism treatment program. Am J Psychiat 136:1190-1193
Pokorny AD, Miller BA, Kaplan HB(1972):The brief MAST;a shortened version of 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Am J Psychiat 129:342-345
Saunders PA, Copeland JRM, Dewey ME, Davidson IA, McWilliam C, Sharma V, Sullivan C(1991):Heavy drinking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nd dementia in elderly men;findings from the Liverpool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Brit J Psychiat 159:213-216
Schuckit MA(1977):Geriatric alcoholism and drug abuse. The Gerontologist 17:168-174
Schuckit MA(1982):A clinical review of alcohol, alcoholism, and the elderly patient. J Clin Psychiat 43:396-399
Schuckit MA, Miller PL(1976):Alcoholism in elderly men:a survey of a general medical ward. Ann N Y Acad Sci 273:558-571
Selzer ML(1971):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the quest for a new diagnostic instrument. Am J Psychiat 127:1653-1658
Smart RG, Adlaf EM(1988):Alcohol and drug use among the elderly:trends in use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Can J Public Health 79:236-242
Welte JW, Mirand AL(1995):Drinking, problem drinking and life stressors in the elderly general population. J Stud Alcohol 56:67-73
Wiberg GS, Trenholm HL, Coldwell BB(1970):Increased ethanol toxicity in old rats:changes in LD50, in vivo and in vitro metabolism, and liver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Toxicol Appl Pharmacol 16:718-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