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6(2); 1999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9;6(2):219-26. Published online: Feb, 1, 1999

Changes iin Bloo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After Alcohol Withdrawal

  • Jin-Sook Cheon, MD1;Kyu-Cheon Lee, MD1; and Byoung-Hoon Oh, MD2;
    1;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usan, 2;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Objectives: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changes in plasma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in alcohol depedence, to find out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SOD activities, and finally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SOD activities with the alcohol-associated cognitive disorders.

Methods:For 24 male alcoholics and 21 healthy male controls, plasma SOD activitie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ry after 1∼2 wks on alcohol withdrawal.Structured interviews and laboratory test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1) Upon comparing SOD activities between controls and alcoholics, the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p<0.01) lower in alcoholics(0.308±0.140 units/mL) than in healthy controls(0.313±0.086 units/mL). 2) Upon comparing SO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lcohol-related cognitive disorders, the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in alcoholics with cognitive disorders(0.247±0.049 units/mL) than in alcoholics without cognitive disorders(0.317±0.148 units/mL). 3) Upon comparing SO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lcoholic polyneuropathy or alcohol withdrawal seizure, the SOD activit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coholics with polyneuropathy or epilepsy and those without.4) Upon analyzing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SOD activities in alcoholics, the SOD activities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hemoglobin(γ=-0.433) and severity of alcohol withdrawal symptoms(γ=-0.375). 5) Upon comparing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lcohol-related cognitive disorders, the occurrence of alcoholic polyneuropathy(p<0.05) and blood phosphorus concentrations(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s with cognitive disorders than those without. 6) Upon analyzing an association between SOD activities and variables in alcoholics with cognitive disorders, the SOD activ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nset age(γ=0.995),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alcohol withdrawal symptoms(γ=-0.996).

Conclusions:Lower SOD activities in alcohol dependence suggested alcohol-associated cognitive disorders and alcohol withdrawal symptoms might be caused by oxidative stress.

Keywords Alcohol dependence;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Cognitivedisorder;Hemoglobin;Severity of alcohol withdrawal symptoms;Blood phosphorus concentration.

Full Text

서론
알코올로 인한 뇌손상의 빈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여러 연구들은 50~70%의 주정의존자에서 어느 정도의 인지 장애를 볼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약 10%에서 치매가, 약 12.5%에서 Wernicke-Korsakoff 증후군을 특징짓는 뇌병소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Dufour 1993).
주정 의존으로 인한 뇌손상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발생되는지는 아직까지 확실치 않으나 초기의 비타민 B 결핍설에서 최근에는 신경독설이 더욱 지지를 받고 있으며,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신경에 독작용이 미치는지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요즈음 관심을 끌고있는 이론이 유리기의 반응설(free radical reaction)이다. 유리기는 신경단위의 구조와 기능에 영구한 손상을 일으켜서 세포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가 주정에 장기적으로 노출된 경우에 뇌손상을 일으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Hunt 1993). 급격한 주정의 투여는 뇌에서 유리기 노출에 의해 lipid peroxidation이 일어나고, superoxide dismutase(이하 SOD)를 감소시키며, 만성 투여시에는 소뇌에서 lipid peroxidation이 증가되고, 어떤 antioxidant의 농도를 떨어뜨린다(Pellmar 1993). 이는 또한 흥분독성(excitotoxicity)과도 관계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Crews와 Chandler 1993).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주정 의존 환자에서 혈중 superoxide dismutase(이하 SOD) 활성도가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로 SOD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해 보며, 셋째로 알코올에 관련된 인지장애가 산화스트레스 및 흥분독성에 연관되는지 그 기전을 규명해 보려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998년 12월 초부터 1999년 8월 말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경정신과에 DSM-IV(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에 의거하여 주정의존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남자 환자 24명을 주정의존군으로 선택하였고, 이들과 연령 및 교육 수준이 일치되고 내과 및 신경정신과적 질환의 기왕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자 자원자 21명을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주정 의존군의 평균연령은 44.8±8.0세(35∼63세 범위)였고,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42.6±6.2세(31∼53세 범위)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56).
주정 의존군의 평균 교육 수준은 10.9±2.9년이었으며, 주정 의존군의 평균 초발 연령은 22.7±7.7세였고, 평균 음주 기간은 24.4±9.5년이었다(Table 5). 이들은 모두 알코올 금단 증상을 보이고 있었고, 모두 주정 남용 또는 주정 의존의 가족력을 지니고 있었다. 알코올성 말초신경염은 주정의존군중 20명(83.3 %)에서, 알코올 금단성 간질은 주정 의존군중 7명(29.2 %)에서 볼 수 있었다(표 3).
2. 연구방법
주정 의존군은 입원하여 해독 과정을 거친후 1∼2주 지나 구조적 면담과 채혈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해서는 정신의학적 면담후 5∼6 ㏄ 채혈하였고, SOD는 spectrophotometry 법의 수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Floh 와 tting 1984). 즉, 헤파린 처리된 시험관에 채혈한 전혈을 담고, 4℃에서 2500 g으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분리시키고, 차갑게 보관한 extraction reagent 400 μL에 분리한 혈장 250 μL를 혼합하고, 4℃에서 3000 g으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분리하여 0∼4℃ 상태로 assay하였다(Fig. 1).
주정의존군에 대해서 주정의존의 심한 정도는 미시간주정의존선별검사(Selzer 1971)의 한글번역판인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Korean Version(이하 MAST-K)(장환일과 전진숙 1985)을 사용해서 평가하였고, 주정금단증상은 Clinical Institute Withdrawal Assessment Scale(이하 CIWA-A)(Naranjo 와 Sellers 1986), 인지장애는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이하(MMSE-K)(권용철과 박종한 1989 박종한과 권용철 1989)을 사용해서 평가하였다.
주정 의존군에서 혈중 마그네슘, 칼슘, 백혈구, 혈색소, 혈소판, 콜레스테롤, triglyceride, SGOT, SGPT, γ-GTP, 암모니아를 측정하여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구조적 면담을 통해서 교육수준, 입원시 연령, 초발 연령, 음주 기간, 가족력, 금단 증상, 말초 신경염, 간질 등 변인에 관하여 조사하고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1. 대조군과 주정의존군에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의 비교
주정의존군과 대조군에서 측정한 혈중 SOD 활성도는 표 1과 같다(표 1). 즉, 대조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13±0.086 units/mL(0.23∼0.56 units/mL 범위)였고,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08±0.140 units/mL(0.09∼0.60 units/mL 범위)로서 주정 의존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9).
2. 알코올성 인지장애 유무에 따른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의 비교
인지기능은 MMSE-K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24점을 구분점으로 하여 24점이하면 인지 장애가 있는 것으로, 25점 이상은 정상으로 나누어서, 인지장애 유무에 따른 SOD 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는 표 2와 같다(표 2). 즉, 인지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247±0.049 units/mL, 인지 장애가 없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17±0.148 units/mL 로서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에 SOD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46).
3. 알코올성 말초신경염, 알코올금단성 간질 유무에 따른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의 비교
주정의존군에서 알코올성 말초신경염 유무 및 알코올 금단성 간질 유무에 따른 SOD 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는 표 3와 같다(표 3). 즉, 알코올성 말초 신경염이있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10±0.141 units/mL, 알코올성 말초 신경염이없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03±0.159 units/mL 로서 양군 간에 SOD 활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955). 또한 알코올 금단성 간질이있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347±0.176 units/mL, 알코올 금단성 간질이없는 주정 의존군의 평균 SOD 활성도는 0.292±0.126 units/mL 로서 양군간에 SOD 활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53).
4. 주정의존군에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에 영향미치는 요인
주정의존군에서 SOD 활성도의 변화에 영향미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해 본 결과는표 4와 같다(표 4). 즉, 주정 의존군에서 SOD 활성도는 연령, 교육 수준, 초발 연령, 음주 기간, 말초 신경염 유무, 간질 유무, 백혈 구수, 혈소 판수, 지방 대사(콜레스테롤치, triglyceride), 간기능 이상(γ-GTP, SGOT, SGPT, ammonia), 전해질 이상(magnesium, calcium, phosphorus), 인지 장애의 심한 정도(MMSE-K) 및 주정 의존의 심한 정도(MAST-K)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혈색소는 SOD 활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35)의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γ=-0.433). 또한 알코올 금단증상의 심한 정도(CIWA-A)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p=0.071), SOD활성도와 역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γ=-0.375).
5. 인지장애 유무에 따른 변인의 비교
주정 의존군에서 인지장애 유무에 따른 여러 변인의 평균치를 비교해 본 결과는 표 5와 같다(표 5). 즉, 여러 변인중 알코올성 말초 신경염, 알코올 금단성 간질, 혈중 인 농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지 장애가 있는 군과 인지 장애가 없는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성 말초 신경염의 빈도는 인지장애가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p=0.047), 알코올 금단성 간질의 빈도는 인지장애가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0). 혈중 인의 농도는 인지장애가 있는 군(4.1±1.9 mg/L)이 인지장애가 없는 군(3.8±0.7 mg/L)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8).
6. 인지장애를 동반한 주정의존군의 여러 변인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의 연관성
인지 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의 SOD 활성도와 인지 장애가 있는 주정의존군의 기타 여러 변인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본 결과는 표 6과 같다(표 6). 즉, 인지 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의 SOD 활성도는 여러 변인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인지 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의 SOD 활성도는 초발 연령과 순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었고(γ=0.995, p=0.065), 알코올 금단증상의 심한 정도와는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γ=-0.996, p=0.056).
고찰
주정의존은 흔한 정신장애의 하나이나 아직까지 알코올 중독, 알코올 금단, 알코올 금단성 간질, 알코올금단성 섬망, 숙취, Wernicke-Korsakoff 증후군, 알코올성 치매, 태아 알코올 증후군, 소뇌 퇴행 등 알코올과 관련된 여러 임상양상에 대한 연접부의 신경화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알코올은 비특이적으로 신경단위 막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었으나(전진숙과 장환일 1984 전진숙 등 1986), 최근에는 glutamate(이하 Glu), γ-aminobutyric acid(이하 GABA) receptor-gated ion channel과 같은 어떠한 막-결합된 단백질의 기능에 특이적이고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sai 등 1995).
급격하게 알코올을 투여하면 알코올은 신경전달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serotonin(이하 5-HT)과 dopamine(이하 DA)(전진숙 등 1997), norepinephrine(이하 NE), Glu, aspartate(이하 ASP), GABA의 유리를 억제하며, 이는 N-methyl-D-aspartate(이하 NMDA)수용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중계된다(Tsai 등 1995). Glycine은 NMDA 수용체의 coagonist이므로 Glu에 의한 NMDA 수용체 활성에 반드시 필요하다(Foster 와 Kemp 1989 Wood 1995). 그러나 Lustig 등(1992)은 배양한 대뇌 피질 세포에 알코올 투여시 NMDA의 흥분독성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보호됨을 발견하였으므로 알코올은 MK-801 등 흥분성 아미노산에 대한 길항제 같이 실험적으로 흥분독성에 의한 신경단위 손상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급격한 알코올 투여는 인간에서 경도의 중독과 연관된 농도에서도 기억 장애를 포함한 인지 장애를 초래하며, 이러한 효과는 알코올에 의한 long-term potentiation(이하 LTP)의 억제에 의하며, 이는 Glu 수용체의 동제인 NMDA에 대한 반응의 억제와 상관된다(Lovinger 등 1989:Blitzer 등 1990 Morrisett와 Swartzwelder 1993 Grunze 등 1996). Sinclair 와 Lo(1986)도 알코올이 해마의 CA1 부위에서 기억 과정에 관계되는 LTP의 형성을 방해함을 보고하였다.
만성적인 알코올 투여는 NMDA 수용체 기능의 선택적인 항진을 초래하며, 이는 알코올 금단성 간질과 같은 알코올 금단증상과 연관된다(Iorio 등 1992). Morgan 등(1992)도 알코올 금단은 NMDA 수용체의 Glu 활성에 의해서 중계된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만성적인 알코올 처치 후에 해마에서 NMDA 수용체의 증가는 주정 의존 환자에서 주정 금단과 연관된 간질을 중계한다(Grant 등 1990 Valverius 등 1990 Hoffman 등 1992 Snell 등 1993 Trevisan 등 1994). Sep lveda 등(1995)도 만성적인 알코올 투여후 금단하면 해마의 치상회(dentate gyrus)에서 NMDA-유발된 NE의 유리를 볼 수 있었다. 치료적인 관점에서여러 뇌부위에서 NMDA 수용체 중계된 Glu 신경전달과 상호작용하고, 칼슘 유입을 감소시킴으로써 신경단위 흥분성을 저하시키는 acamprosate가 주정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에 대한 갈구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Sass 1996 Spanagel과 Zieglg nsberger 1997).
알코올로 유도된 유리기의 형성은 장기적인 알코올 투여시 뇌손상의 발생에 기여한다. 알코올 투여 후에 유리기는 여러 기전에 의해서 생성된다(Hunt 1993). 뇌에는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이 낮고, 따라서 뇌에서 알코올은 ethanolinducible cytochrome P450과catalase에 의해서 대사되며, 이는 뇌와 간 모두에서 유리기의 생성에 관계된다(Albano 등 1991). 뇌에서 알코올 투여와 연관된 유리기의 원천은 ethanol 분자 그 자체로서, ethanol 분자에 있는 α-hydrogen은 hydroxyl기에 의해서 hydroxyethyl기를 형성하며, 유리기의 또다른 원천은 nitric oxide의 축적으로부터 나오는데, nitric oxide는 superoxide기와 결합해서peroxynitrite를 형성하고, 이는 hydroxyl 및 nitroxide 유리기로 된다(Halliwell 1992). 알코올을 급격히 투여하면 뇌에서 유리기 노출의 결과로 lipid peroxidation이 일어나며, SOD, α-tocopherol, ascorbate, selenium이 감소하고, 뇌에서 glutathione치를 감소시킨다. 알코올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lipid peroxidation이 소뇌에서 분명해지고, 항산화제의 농도를 저하시킨다(Ahmad 등 1988 Pellmar 1993 Puttfarcken 등 1993a). Zidenberg-Cherr 등(1990)은 알코올 투여시 유리기 반응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해 줄 수 있는 copper-zinc SOD(CuZnSOD)와 glutathione peroxide의 활성이 저하된다고 보고하였다.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의 NMDA 계열은 가장 흥분독성이 있고 알코올에 의한 급격한 억제는 진정과 인지장애를 초래한다. 만성적인 알코올 투여시 알코올에 대한 내성을 포함하는 적응적 변화는 신경단위의 흥분독성에 대한 감수성에 기여하는 NMDA와 voltage-sensitive calcium channel 밀도의 증가를 초래한다. 알코올금단 과다흥분시에는칼슘 channel의 적응적 증가가 진행된 신경단위는 신경단위 사망을 유발시키는 흥분역치에 도달한다(Crews와 Chandler 1993). Volterra 등(1994)은 유리기는 교질 흡수의 감소에 의해 Glu의 세포외 축적을 유도한다고 말하였고, Pellegrini-Giampietro 등(1988)도 내재적인 흥분성 아미노산은 유리기 형성의 결과로서 유리된다고 말하였다. Coyle과 Puttfarcken(1993)은 산화스트레스와 Glu 수용체의 과다한 활성은 뇌에서 세포 손상에 대한 최종 공통경로를 제공한다고 말하였다. Tsai 등(1998)은 주정 의존 환자에서 Asp, glycine, N-acetylaspartylglutamate 등과 같은 Glu 지표가 증가하고, GABA 농도는 감소하며,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SOD는 감소하고 lipid peroxide와 carbonyl 단백질은 증가하며,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산화 스트레스 지표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므로, 흥분성 신경전달의 강화는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이것은 감소된 억제성 신경전달과 병행해서 인간의 알코올 금단에 의해서 중계된 신경독성에서 중요한 상호작용을 한다고 보고하였다(Fig. 2).
본 연구에서는 만성 주정 의존 환자에서 입원하여 주정 금단한지 1∼2주 후에 측정한 혈장 SOD 활성도가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는 인지 장애를 동반한 주정 의존군에서 현저하였다. 그러나 기대한 바와는 달리 알코올성 말초신경염이나 알코올금단성 간질 유무는 SOD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SOD 활성도에 영향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들과의 연관성을 검토해본 결과, 혈색소를 제외한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볼 수 없었다. 즉, 인지 장애의 심한 정도와 SOD 활성도 변화의 심한 정도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고, 혈색소치는 SOD 활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었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알코올 금단 증상의 심한 정도도 SOD 활성도와 역상관 관계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흥분성 신경전달의 강화가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는 직접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점이다. 즉, Glu 지표로서 N-acetylaspartylglutamate, aspartate, glutamate, glycine, N-acetylaspartate 등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농도를 측정하지 않았고, 산화 스트레스 지표로서 SOD 외에 carbonyl protein, lipid hydroperoxide등을 동시에 측정하지 못하였다(Koller 등 1984 Sekiguchi 등 1987 Sekiguchi 등 1989 Roy 등 1990 Sekiguchi 등 1992 Puttfarcken 등 1993b Wroblewska 등 1993 Tsai와 Coyle 1995 Tsai 등 1998). 또한 주정 의존 환자의 인지 장애와 산화스트레스의 연관성을 검토하려고 의도하였으나 유의한 인지 장애를 보인 증례가 적어서 결과의 신뢰성이 낮았으므로 차후에 좀더 많은 증례를 모아서 이 문제를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뇌에서 산화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를 좀더 반영하기 위해서는 혈액보다는 뇌척수액에서의 산화 스트레스 지표 측정이 더욱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결론
주정 의존 환자에서 혈중 SOD 활성도의 변화와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알코올성 인지 장애와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기위해서, 남자 주정 의존 환자 24명과 정상남자 대조군 21명에 대해서 혈장 SOD 활성도를 측정하고 구조적 면담과 임상병리검사를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과 주정 의존군에서 SOD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SOD 활성도는 주정 의존군(0.308±0.140 units/mL)이 대조군(0.313±0.086 units/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1).
2) 알코올성 인지 장애 유무에 따라서 SOD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SOD 활성도는 알코올성 인지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0.247±0.049 units/mL)이 알코올성 인지장애가 없는 주정의존군(0.317±0.148 units/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5).
3) 알코올성 말초신경염, 알코올 금단성 간질 유무에 따라서 SOD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SOD 활성도는 알코올성 말초신경염이 있는 군과 알코올성 말초신경염이 없는 군, 알코올금단성 간질이 있는 군과 알코올 금단성 간질이 없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주정 의존군에서 SOD 활성도에 영향미치는 요인을 검토해 본 결과, SOD 활성도는 혈색소(γ=-0.433) 및 알코올 금단 증상의 심한 정도(γ=-0.375)와 역상관 관계의 경향을 보였다.
5) 주정 의존군에서 인지 장애 유무에 따라서 여러 변인을 비교해 본 결과, 인지 장애가 동반된 주정 의존군에서 알코올성 말초 신경염의 빈도(p<0.04)와 혈중 phosphorus 농도(p<0.01)가 인지 장애가 없는 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6) 인지 장애를 동반한 주정 의존군의 여러 변인과 SOD 활성도의 연관성을 검토해 본 결과, 인지 장애가 있는 주정 의존군의 SOD 활성도는 초발 연령과 순상관 관계(γ=0.995), 알코올 금단증상의 심한 정도와는 역상관 관계(γ=-0.996)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주정 의존 환자에서 낮은 SOD 활성도는 인지장애, 알코올 금단증상 등 주정의존에 관계된 여러 장애가 산화 스트레스에 기인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REFERENCES

권용철, 박종한(1989):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 1 편:MMSE-K의 개발 -. 신경정신의학 28:125-135
박종한, 권용철(1989):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의 표준화 연구- 제 2 편: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28:508-513
장환일, 전진숙(1985):한국에서 Michigan 주정의존 선별검사의 적용에 대한 예비조사. 신경정신의학 24:46-53
전진숙, 김현수, 오병훈(1997):주정의존에서 혈장 dopamine 및 serotonin 농도 변화의 의미. 신경정신의학 36:547-559
전진숙, 장환일(1984):주정과 신경전달물질-문헌 고찰. 신경정신의학 23:215-225
전진숙, 장환일, 김구자(1986):주정투여 및 금단이 백서 뇌 및 간 adenosine tri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5:253-265
Ahmad FF, Cowan DL, Sun AY(1988):Potentiation of ethanol-induced lipid peroxidation of biological membranes by vitamin C. Life Sci 43:1169-1176
Albano E, Tomasi A, Perssion J-O, Terelius Y, Goria-Gatti L, Ingelman-Sandberg M, Dianzani MU(1991):Role of ethanol-inducible cytochrome P450(P450IIEI) in catalysing the free radical activation of aliphatic alcohols. Biochem Pharmacol 41:1895-190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175-272
Blitzer RD, Gil O, Landau EM(1990):Long-term potentiation in rat hippocampus is inhibited by low concentration of ethanol. Brain Res 537:203-208
Coyle JT, Puttfarcken P(1993):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689-695
Crews FT, Chandler LJ(1993):Excitotoxicity and the neuropathology of ethanol.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55-371
Dufour MC(1993):The epidemiology of alcohol-induced brain injury.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36
Floh L, tting F(1984):Superoxide dismutase assays. Methods Enzymol 105:93-104
Foster AC, Kemp JA(1989):Glycine maintains excitement. Nature 338:377-378
Grant KA, Valverus P, Hudspith M, Tabakoff B(1990):Ethanol withdrawal seizures and the NMDA receptor complex. Eur J Pharmacol 176:289-296
Grunze HC, Rainnie DG, Hasselmo ME, Barkai E, Hearn EF, McCarley RW, Greene RW(1996):NMDA-dependent modulation of CA1 local circuit inhibition. J Neurosci 16:2034-2043
Halliwell B(1992):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J Neurochem 59:1609-1623
Hoffman PL, Grant KA, Snell LD, Reinlib L, Iorio K(1992):NMDA receptors:role in ethanol withdrawal seizures. Ann NY Acad Sci 654:52-69
Hunt WA(1993):Role of free radical reactions in ethanol-induced brain damage:an introductio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27-338
Iorio KR, Reinlib L, Tabakoff B, Hoffman PL(1992):Chronic exposure to cerebellar granule cells to ethanol results in increased N-methyl-D-aspartate receptor function. Mol Pharmacol 41:1142-1148
Koller K, Zaczek R, Coyle JT(1984):N-Acetyl-aspartyl glutamate regional levels in rat brain and the effects of brain lesions as determined by a new HPLC method. J Neurochem 43:1136-1142
Lovinger DM, White G, Weight FF(1989):Ethanol inhibits NMDA-activated ioncurrent in hippocampal neurons. Science 243:1721-1724
Lustig HS, Chan J, Greenberg DA(1992):Ethanol inhibits excitotoxicity in cerebral cortical cultures. Neurosci Lett 135:259-261
Morgan PF, Nadi NS, Karanian J, Linnoila M(1992):Mapping rat brain structures activated during ethanol withdrawal:role of glutamate and NMDA receptors. Eur J Pharmacol 225:217-223
Morrisett RA, Swartzwelder HS(1993):Attenuation of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by ethanol:a patch-clamp analysis of glutaminergic and GABAnergic mechanisms. J Neurosci 13:2264-2272
Naranjo CA, Sellers EM(1986):Clinical assessment and pharmacotherapy of th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Recent Dev Alcohol 4:265-281
Pellegrini-Giampietro DE, Cherici G, Alesiani M, Carl V, Moroni F(1988):Excitatory amino acid release from rat hippocampal slices as a consequence of free-radical formation. J Neurochem 51:1960-1963
Pellmar TC(1993):Do free radicals contribute to ethanol-induced synaptic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39-354
Puttfarcken PS, Getz RL, Coyle JT(1993a):Kainic acid-induced lipid peroxidation:protection with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U78517F in primary cultures of cerebellar granular cells. Brain Res 624:223-232
Puttfarcken PS, Handen JS, Montgomery DT, Coyle JT, Werling LL(1993b):N-Acetylglutamate modulation of N-methyl-D-aspartate stimulated [3H]norepinephrine release from rat hippocampal slices. J Pharmacol Exp Ther 266:796-803
Roy A, DeJong J, Ferraro T, Adinoff B, Ravitz B, Linnoila M(1990):CSF γ-aminobutyric acid in alcoholics and control subjects. Am J Psychiatry 147:1294-1296
Sass H, Soyka M, Mannn K, Zieglgansberger W(1996):Relapse prevention by acamprosate:results from a placebo-controlled study on alcohol dependence. Arch Gen Psychiatry 53:673-680
Sekiguchi M, Okamoto K, Sakai Y(1987):Excitatory action of N-acetylaspartylglutamate on Purkinje cells in guinea pig cerebellar slices:an intrasomatic study. Brain Res 423:23-33
Sekiguchi M, Okamoto K, Sakai Y(1989):Low concentration N-acetylaspartyl-glutamate supresses the climbing fiber response of Purkinje cells in Guinea pig cerebellar slices and the responses to excitatory amino acids of Xenopus laevis oocytes injected with cerebellar mRNA. Brain Res 482:87-96
Sekiguchi M, Wada K, Wenthold RJ(1992):N-Acetylaspartylglutamate acts as an agonist upon homomeric NMDA receptor(NMDAR1)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FEBS Lett 311:285-289
Selzer M(1971):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the quest for a new diagnostic instrument. Am J Psychiatry 127:1653-1658
Sep lveda C, Bustos G, Gysling K, Seguel M, Labarca R(1995):Effects of in vitro ethanol and chronic ethanol consumption on the release of excitatiory amnino acids in the rat hippocampus. Brain Res 674:104-106
Sinclair JG, Lo GF(1986):Ethanol blocks tetanic and calcium-induced long-term potentiation in the hippocampal slice. Gen Pharmacol 17:231-233
Snell LD, Tabakoff B, Hoffman PL(1993):Radioligand binding to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ionophore complex:alterations by ethanol in vitro and by chronic in vivo ethanol ingestion. Brain Res 602:91-98
Spanagel R, Zieglg nsberger W(1997):Anti-craving compounds for ethanol:new pharmacological tools to study addictive processes. Trends Pharmacol Sci 18:54-59
Trevisan L, Fitzgerald LW, Brose N, Gasic GP, Hainemann SF, Duman RS, Nestler EJ(1994):Chronic ingestion of ethanol up-regulates NMDAR1 receptor subunit immunoreactivity in rat hippocampus. J Neurochem 62:1635-1638
Tsai G, Coyle JT(1995):N-Acetylaspartate in neuropsychiatric disorder. Prog Neurobiol 46:531-540
Tsai G, Gastfriend DR, Coyle JT(1995):The glutamatergic bases of human alcoholism. Am J Psychiatry 152:332-340
Tsai G, Ragan P, Chang R, Chen S, Linnola V, Coyle JT(1998):Increased glutamatergic neurotransmission and oxidative streess after alcohol withdrawal. Am J Psychiatry 155:726-732
Valverius P, Crabbe JC, Hoffman PL, Tabakoff B(1990):NMDA receptors in mice bred to be prone or resistant to ethanol withdrawal seizures. Eur J Pharmacol 184:185-189
Volterra A, Trotii D, Tromba C, Floridi S, Racagni G(1994):Glutamate uptake inhibition by oxygen free radicals in rat cortical astrocytes. J Neurosci 14:2924-2932
Wood PL(1995):The co-agonist concept:is the NMDA-associated glycine receptor saturated in vivo? Life Sci 57:301-310
Wroblewska B, Wroblewski JT, Saab OH, Neale JH(1993):N-Acetylaspartylglutamate inhibits forskolin-stimulated cyclic AMP levels via a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in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J Neurochem 61:943-948
Zidenberg-Cherr S, Halsted CH, Olin KL, Reisenauer AM, Keen CL(1990):The effect of chronic alcohol ingestion of free radical defense in the miniature pig. J Nutr 120:21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