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2(2); 1995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5;2(2):252-6. Published online: Feb, 1, 1995

Effects of Various Stimuli on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the Human Neuroblastoma Clones

  • Jin-Hee Han, MD1,2;John W, Kasckow, MD, PhD2,3; Sung-Pil Lee1;David G. Parkes, PhD4;Michael J. Owens, MD2;Mark D. Stipetic, MS2;Emile Risby, MD2; and Charles B. Nemeroff, MD, PhD2;
    1;Department of Psychiatry, Catholic Universty Medical College, Seoul,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t. Vincent Hospotal, Suwon, Korea, 2;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tlanta, Georgia, U.S.A. 3;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Cincinnati, Ohio, U.S.A. 4;Howard Florey Institute of Experimental Physiology and Medicine, Parkville, Australia
Abstract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를 분비하는 배양세포주는 CRF의 세포내 조절을 연구하는데 있어 훌륭한 체계가 된다. BE(2)-M17 및 BE(2)-C 세포주는 CRF를 생산하고 분비하며 farskolin 처치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이들 세포주에 phorbol 에스테르, 즉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TPA) 0.8, 4, 10, 20 nM, 및 nitric oxide(NO)의 신호전달 경로의 자극제(1-uM nitroprusside)와 차단제(1uM nitroprusside+300uM NG-methyl-D-arginine), 그리고 interleukin-1a(IL 1a : 4, 20, 100, 500 pM)를 처치하여 CRF를 의미있게 증가시켰으나 세포외 분비는 C 세포에서만 변화되었다. NOS계의 자극제와 차단제는 C 세포의 forskolin 효과를 의미있게 변화시켰다. IL1a는 두 세포주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상기 제제들에 대한 이들 세포의 반응이 중추신경계 CRF 신경들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Keywords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Forskolin;Phorbol 에스테르;Nitric oxide 합성효소;신호전달;신경세포 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