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15(3); 2008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008;15(3):204-10. Published online: Mar, 1, 2008

The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K) for Alcohol Dependence

  • Cheol Min Kim, MD1;Sung Gon Kim, MD, PhD2;Min Jeong Kim, MA2;Ho Chan Kim, MD, PhD3;Kwang-Ook Oh4;Hyo Jeong Kim, MD5;Se Hoon Kim, MD5;Duk Ki Lee, MD, PhD5;Won Tan Byun, MD, PhD5; and Cheol Joong Kang, MD, PhD2;
    1;Yangsan Hae-In General Hospital, Yangsan, 2;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3;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Busan, 4;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5;Yang San Hospital, Yangsan, Korea
Abstract

Objectives:The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 has been used in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and resear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the Korean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K).

Methods:To examine the AUQ-K's psychometric properties, responses from 104 patients admitted in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facility were investigated.

Results: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8-item AUQ-K, measured by coefficient α, was high(Cronbach's α=0.78). AUQ-K scor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hen the retest interval was 1 day(p<0.01). The AUQ-K's validity was investigated using correlational analyses with two other craving scales[the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OCDS)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The high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otal AUQ-K scores and total OCDS scores, and between total AUQ-K scores and the VAS scores(p<0.01, respectively).

Conclusion:The AUQ-K is a reliable and valid short scale for measurement of self-reported alcohol craving. This scale may offer significant advantages over existing single-item measures of alcohol craving in the fields of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and research.

Keywords Alcoholism;Urges;Craving;Reliability;Validity.

Full Text

교신저자:김성곤, 602-739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
교신저자:전화) (051) 240-7309, 전송) (051) 248-3648, E-mail) sungkim@pnu.edu

서     론


  
알코올 의존에서 갈망은 알코올 의존 증상의 핵심 요소이다.1) 알코올과 물질 관련 연구자들은 금단증상2)3)과 알코올 및 물질 사용의 긍정적 강화 효과4)5)가 갈망과 관련이 있으며, 알코올 의존의 경우 음주자의 현재와 과거 맥락에서 유발된 인지과정, 신체적 감각과 행동 반응 등이 음주 갈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6) 그리고 음주 갈망은 알코올 의존의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에서 재발과도 관련이 있으며,7) 음주 유지와 금주 후 재음주의 원인도 된다.2)3)8)
   알코올 의존은 재발률이 매우 높은 정신과 질환 중 하나로서 재발을 예측하여 미리 예방하는 것이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 치료에서 인지 행동 치료자들은 음주 갈망에 대한 인지 치료와 그러한 갈망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들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9)10) 또한, 아편계 길항제인 naltrexone과 같은 알코올 의존을 위한 치료 약물도 알코올 의존 환자의 음주 갈망을 감소시켜 재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11)12)
   그러나 음주 갈망의 정확한 특성과 적절한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일치가 부족하다. 대부분 연구자들은 피험자가 언제 음주 갈망을 가지는지에 대한 조사에서 오직 한 가지 질문이나 소수의 질문을 사용하였는데,13)14) 이러한 도구로 Visual Analogue Scale(이하 VAS)을 들 수 있다. VAS는 단일 항목 척도로 갈망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못하여 갈망의 의미에 대해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갈망의 정서-동기 차원, 인지 행동 차원, 기대감과 정적 및 부적 강화 효과와 같은 갈망의 이질적 특성 측정에서 제한점이 있고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7) 또한, VAS로 측정된 음주 갈망의 정도가 한 달 후의 재발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를 조사한 연구15)에서도 좋은 예측타당도를 보이지 못하였다. 음주 갈망에 대한 또 다른 측정 도구로 알코올 남용 및 의존 환자의 면담에 적용한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이하 Y-BOCS-hd)16)과 Y-BOCS-hd로부터 나온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이하 OCDS)17)이 있다. 하지만, Y-BOCS-hd는 음주 갈망과 중간 정도로만 상관관계가 있었다.18) 뿐만 아니라, 알코올 충동은 음주에 대한 갈망만을 반영하는 단일 요인을 통해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데,15) OCDS는 음주 갈망 외에 알코올 의존을 구성하는 다른 차원을 측정하는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음주 갈망을 특정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19)
   이를 통해 볼 때, 음주 갈망 관련 연구를 위해 음주 갈망의 단일 요인을 측정하면서도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자가 보고 양식의 알코올 충동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 AUQ)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AUQ를 통해 측정한 음주 갈망은 단일요인 구조를 보였다.15) AU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면, 높은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으며, 좋은 변별 타당도, 구성 타당도와 동시 타당도를 지니고 있었다.15) 아울러, AUQ의 예측타당도 조사를 위해 1개월 후의 추적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연구 대상자의 음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또한, AUQ는 미국과 영국의 알코올 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들이 모두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1)
   따라서, AUQ의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와 음주 갈망 및 알코올 충동에 대한 연구와 임상적인 활용에서 AUQ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AUQ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연구 및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음주 갈망을 측정할 수 있도록 AUQ의 한국어판인 Korean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 AUQ-K)를 개발하고자 한다. AUQ-K는 음주 충동을 측정하는 단일 차원 척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알코올 의존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정신과 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만 20세 이상부터 만 65세 이하의 알코올 의존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알코올 의존의 진단은 두 명의 정신과 의사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이하 DSM-IV)20)에 의거해 이루어졌으며, 알코올 의존 상태에 대한 부정이 심하거나 인지기능의 장애가 심한 환자, 금단 증상이 심한 환자, 그리고 다른 제 I축 장애를 가진 환자는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환자가 AUQ-K, OCDS와 VAS에 답하였으며, 작성한 질문지를 검토하여 자료의 신빙성이 의심되는 6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최종 연구대상 환자는 104명이었다.
   이들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알코올 의존의 음주력을 비롯한 기초 자료는 평가자가 대상 환자들과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2. 연구도구
  
연구의 내용과 절차에 대해 서면 동의한 대상자에게 면담을 통하여 기초 자료를 조사한 후, VAS 1, AUQ-K, VAS 2, OCDS의 순서로 검사지를 배부하고 대상자 스스로 읽고 답하게 하였다.
   AUQ-K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자 중 무작위로 24명을 선별하여 AUQ- K와 VAS를 1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1) Korean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 AUQ-K)
   도구 번역은 알코올 의존 치료에 관련된 영어에 능숙한 정신과 전문의가 실시하였으며, 문화적 차이 때문에 직역을 했을 경우 의미 전달이 부족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번안하였다. 그 후 본 연구에 참여하는 정신과 전문의 1인, 정신과 전공의 1인, 간호사 1인과 임상심리사 1인들이 모여서 번역 내용에 대한 충분한 토의를 거쳐서 수정한 후에 몇 사례에서 시도해 보고 재수정 하였다. 이렇게 완성한    AUQ-K는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마다 음주 갈망 정도를 0점에서 6점까지 해당하는 7칸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문판 AUQ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α는 0.91이다.15)

2)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이하 OCDS)
  
OCDS17)는 술에 대한 강박사고와 강박적 알코올 사용을 측정하고 있으며, 14문항으로 구성된 자가 보고 질문지이다. 본 연구는 5점 척도의 14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OCDS21)를 사용하였는데, 한국어판 OCDS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0.89이다.

3) Visual analogue scale(이하 VAS)
  
VAS는 현재 술을 얼마나 마시고 싶은지에 대하여 '전혀 마시고 싶지 않다'와 '매우 마시고 싶다' 항목을 양 축으로 하는 100mm의 선분을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반응 편향성과 무작위 응답을 방지하기 위하여 VAS를 2회 평가하도록 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의 통계 처리는 SPSS PC+ version 11.5를 이용하였다. AUQ-K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 일치도는 Cronbach의 alpha 계수를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은 pearson 상관계수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AUQ-K에서 역평가 항목의 점수는 역으로 변환시켜 분석하였다.

결     과

1. 사회인구학적 특성
  
최종 분석 대상자 104명의 사회인구학적 결과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평균 연령은 45.9±7.2세였으며, 교육연한은 평균 10.7±3.4년이었다. 대상자의 음주 시작 연령은 19.0±4.4세이고 음주로 인한 문제 발생 연령은 평균 32.2±9.0세이며, 입원횟수는 평균 7.5±8.2회이다. 대상자의 지난 1년간 월 평균 음주일은 17.6±10.8일이며, 지난 1년간 일 평균 음주량은 12.8±6.4 Standard Drink(이하 SD)이다. 대상자의 67.3%가 금단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32.7%가 알코올 중독의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신뢰도
   AUQ-K의 8개 문항에 대한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는 0.78로 나타났으며, AUQ-K는 신뢰할만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AUQ-K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1일간의 간격을 두고 AUQ-K를 실시한 결과, 기저선과 1일 후의 AUQ-K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66, p<0.01).

3. 타당도
   VAS와 OCDS의 상관분석 결과 두 척도 모두 AUQ-K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VAS 1과 r=0.392, VAS 2와 r=0.463, OCDS와 r=0.341, p<0.01)(표 2).

고     찰

   본 연구에서 측정한 AUQ-K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0.78로 신뢰할만한 내적 일치도를 가졌으며, 또한 1일 간격을 두고 측정한 AUQ-K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AUQ-K는 음주 갈망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써 높은 신뢰도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측정도구인 VAS와의 상관분석 결과는 신뢰할만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한, AUQ-K와 OCDS의 상관분석에서도 신뢰할만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시 타당도를 지니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AUQ-K는 음주 갈망을 측정하는 임상도구로서 타당하며, 신뢰성있고 사용하기 쉬운 도구인 것이다.
   음주 갈망은 그 자체만을 반영하는 단일 요소를 통해 가장 잘 기술될 수 있다.15) 음주 갈망 측정 도구로써 기존에 사용되었던 VAS는 음주에 대한 대상자의 욕구나 충동을 평정하게 하는데 음주 갈망에 대해 모호하거나 제한되게 정의할 수 있고 응답 편향가능성이 있다. 또한, OCDS는 음주 갈망 이외에 알코올 의존 증상이 포함된 다차원적인 문항 구성으로 음주 갈망에 대한 측정 도구로써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VAS와 Y-BOCS-hd는 음주 재발에 대한 예측 타당도가 좋지 못하며, 음주 갈망과 낮은 상관을 보이는 등 임상에서 활용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영문 척도인 AUQ는 음주 갈망과 관련된 단일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음주 갈망의 정의에 대해 좀 더 분명하게 의미전달을 할 수 있어 알코올 의존 환자의 음주 갈망에 대해 짧은 시간내에 좀 더 명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UQ는 1개월 후 추적 면담에서 VAS와 OCDS에 비해 조사 대상자들의 음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15) 따라서, AUQ는 음주 갈망에 대한 연구와 치료 영역에서 알코올 의존 환자의 음주 갈망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며, 알코올 의존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좀 더 신뢰성 있고 타당한 예측 인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AUQ-K는 영문 척도인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 AUQ)와 마찬가지로 자가 보고식으로 측정하는 이질적인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도 동일하다. 즉, AUQ-K의 내용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네 개 항목은 음주 갈망에 대한 것이고 두 항목은 음주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를 측정하며, 나머지 두 항목은 현재 술이 있다면 피할 수 없는 지를 의미하는 음주 기회 대처에 대한 것이다. 결국 AUQ-K는 음주 갈망을 조사할 때 음주 갈망의 단일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적은 수의 항목을 통해 측정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AUQ-K가 높은 내적 일치도를 지니지만(Cronbach's α=0.78), 영문판 AUQ에서 보이는 내적 일치도에 비해 다소 낮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영문판 AUQ의 Cronbach's α는 0.91이며,15) 영국에서 수행된 연구1)에서 AUQ의 Cronbach's α는 0.93으로 나타났다. 이는 번역상에서 오는 문화적 의미 전달의 차이를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번안 과정에서 영어·한국어 전문가에 의한 번안 및 재번안 절차가 없어서 한국어 번안문 중 매끄럽지 못한 문장이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AUQ-K의 의미 전달에서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대상자들이 입원 치료 상황에서 자신의 음주 갈망을 덜 보고하는 편향이 있을 가능성으로 인해 내적 일치도에서 영문판 AUQ에 비해 AUQ-K가 다소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제한점으로 기존의 영문판 AUQ 연구에서 조사한 대상자 수가 351명인데 비해 본 연구 대상자 수가 적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AUQ-K와 OCDS가 신뢰할 수준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만 상관계수(r=0.341)가 영문판 AUQ와 OCDS의 상관계수(r=0.42)만큼 나오지 않고 있는데 문화적 차이의 가능성과 적은 대상자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향후 AUQ-K가 AUQ와 마찬가지로 알코올 의존 치료에서 성공적인 결과 여부와 알코올 의존 재발을 예측하기 위한 척도로써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음주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     론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 AUQ)는 알코올 의존의 치료와 연구에서 음주 갈망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본 연구는 AUQ를 한국어로 번안한 Korean Alcohol Urge Questionnaire(이하AUQ-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AUQ를 한국어로 번안한 뒤, 알코올 의존으로 입원 중인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AUQ-K,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과 Visual Analogue Scale에 응답하게 하여 AUQ-K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AUQ-K의 8개 문항에 대한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는 0.78로 나타났다. 아울러, AUQ-K를 1일 간격을 두고 측정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게 나타났다(p<0.01). OCDS와 VAS의 상관분석 결과 두 척도 모두 AUQ-K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01).
   AUQ-K는 자가 보고 음주 갈망 척도로 신뢰성 있으면서 타당한 간편 척도이다. 이 척도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와 연구에서 음주 갈망 척도로 기존에 사용되던 단일 항목 척도보다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Drummond DC, Philips TS. Alcohol urges in alcohol-dependent drinkers: further validation of the Alcohol Urge Questionnaire in an untreated community clinical population. Addiction 2002;97:1465-1472.

  2. Ludwig AM, Stark LH. Alcohol craving: subjective and situational aspects. Quart J Stud Alc 1974;35:899-905.

  3. Rankin H, Hodgson R, Stockwell T. The concept of craving and its measurement. Behav Res Ther 1979;17:389-396.

  4. Wise RA. The neurobiology of craving: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addiction. J Abnorm Psychol 1988;97:118-132.

  5. Baker TB, Morse E, Sherman JE. The motivation to use drugs: a psychological analysis of urges. Nebr Symp Motiv 1986;34:257-323.

  6. Tiffany ST. A cognitive model of drug urges and drug-use behavior: role of automatic and nonautomatic processes. Psychol Rev 1990;97:147-168.

  7. Potgieter AS, Deckers F, Geerlings P. Craving and relapse measurement in alcoholism. Alcohol Alcohol 1999;34:254-260.

  8. Ludwig AM, Wilker A. "Craving" and relapse to drink. Quart J Stud Alc 1974;35:108-130.

  9. Marlatt GA. Taxonomy of high-risk situations for alcohol relaps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a cognitive behavioral model. Addiction 1996;91:37-49.

  10. Monti PM, Rohsenow DJ. Coping-skills training and cue-exposur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lcoholism. Alcohol Res Health 1999;23:107-115.

  11. Volpicelli JR, Alterman AI, Hayashida M, O'Brien CP. Naltrexone and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Arch Gen Psychiatry 1992;49:876-880.

  12. O'Malley SS, Jaffe AJ, Chang G, Schottenfeld RS, Meyer RE, Rounsaville B. Naltrexone and coping skills therapy for alcohol dependence: a controlled study. Arch Gen Psychiatry 1992;49:881-887.

  13. Connor JP, Feeney GF, Young RM. A comparison of the Yale-Brown Obesessive Compulsive Scale for "heavy drinking" with a single item craving measure: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Subst Use Misuse 2005;40:551-561.

  14. Kozlowski LT, Mann RE, Wilkinson DA, Poulos CX. "Cravings" are ambiguous: ask about urge or desires. Addict Behav 1989;14:443-445.

  15. Bohn MJ, Krahn DD, Staehler BA.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measure of drinking urge in abstinent alcoholism. Alcohol Clin Exp Res 1995;19:600-606.

  16. Modell JG, Glaser FB, Mountz JM, Schmaltz S, Cyr L. Obsessive and compulsive characteristics of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quantification by a newly developed questionnaire. Alcohol Clin Exp Res 1992;16:266-271.

  17. Anton RF, Moak DH, Latham P. The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 a self-rated instrument for the quantification of thoughts about alcohol and drinking behavior. Alcohol Clin Exp Res 1995;19:92-99.

  18. Modell JG, Glaser FB, Cyr L, Mountz JM. Obsessive and compulsive characteristics of craving for alcohol in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Alcohol Clin Exp Res 1992;16:272-274.

  19. Flannery BA, Volpicelli JR, Pettinatl HM.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nn Alcohol Craving Scale. Alcohol Clin Exp Res 1999;23:1289-1295.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DSM-Ⅳ).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4.

  21. Choi MJ, Lee E, Lee BO, Lee PG, Oh BH, Lee CH, Namkoong K. The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 for outpatient of alcohol dependenc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98-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