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5(1); 1998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98;5(1):122-8. Published online: Jan, 1, 1998

A Clinical Trial of Combined Treatment with Estrogen and Antipsychotics in Female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Ei-Jung Kwon, MD1;Jin-Se Kim, MD1;Dong-Woo Lee, MD2; and In-Kwa Jung,MD1;
    1;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2;Pusan Dong-In Hospital, Pusan Korea
Abstract

Objective:This study was a open clinical trial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mbined treatment with estrogen and antipsychotics to the chronic female schizophrenics.

Method:40 female patients who met DSM-Ⅵ criteria for schizophrenia who were chronically ill were randomly assigned to estrogen group(EG) and control group(CG). EG patients were received estrogen 1.25mg for 8weeks in addition to their routine antipsychotic regimens. CG patients were received their routine antipsychotic regimens only.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PANSS(Pos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at 0, 4, 8 week during the trial period and compaired with each other.

Results:40 female patients have completed the study during 8weeks. 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ANSS and CGI scores than CG during the 8weeks. In EG patients, all symptom subtypes(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symptoms) of PAN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positive symptoms were most significantly improved at 8week.

Conclusions:This results support the clinical value of combined estrogen therapy among chronic female schizophrenics.

Keywords Estrogen;Schizophrenia;Combined treatment.

Full Text

서론
정신분열병은 유사한 정신병리를 갖지만 다양한 이질적 원인을 갖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생물학적 원인을 밝히기 위해 오랜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정신분열병의 역학적, 정신병리적 관점에서 남녀간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성별간 차이를 두고 성호르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최근에는 여성 성 호르몬중 하나인 estrogen이 정신분열병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Hafner(1987)는 여성에서 estrogen은 정신분열병이 발병할 취약성(vulnerability)을 약화시킴으로써 병의 발생을 지연시키며, 따라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정신분열병의 발병이 늦는 이유가 estrogen의 영향에 있다고 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한 연구에서는 estrogen투여로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인 강경증(catalepsy)을 강화시켰으며, amphetamine이나 apomorphine으로 유발된 정신병의 행동학적 증상 중 하나인 상동증을 감소시켰다는 보고도 있었다(Gordon 등 1980). 임상적으로는 여성의 경우 주로 estrogen의 수치가 떨어지는 월경전에 정신병적인 증상의 악화가 나타나며(Endo 등 1978), 출산후 estrogen 의 수치가 갑자기 감소하는 경우에도 정신병의 빈도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Nott 1982). 또한 연령군이 20세 이상, 40세 이하인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 남자나 여성의 다른 연령군보다 더 적은 용량의 항정신병 약물이 요구되는데 이는 estrogen의 영향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었다(Seeman 1983). 이러한 임상관찰로부터 Seeman과 Lang(1990)은 estrogen이 여성에서 정신분열병의 발병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며, 더 나아가 치료저항성 정신분열병으로의 진행을 조기에 방지해 준다고 가정하였다.
정신분열병의 치료에서 전형적인 항정신병약물 투약으로 정신분열병 환자의 50%만이 완치되거나 임상적으로 호전을 보인다고 한다(Hales 등 1994). 최근에는 이러한 난치성 정신분열병의 치료를 위해 clozapine을 비롯한 많은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이 개발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항정신병약물과 보조약물을 병합투여하여 난치성 또는 만성 정신분열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전략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는 보조약물들은 항우울제와 benzodiazepine계 약물 그리고 기분안정제등이 있다(유영운 등 1994;이민수 등 1997;정한용 등 1994;한창수 등 1996;Becker 1983;Bodkin 1990;Dose 등 1987;Owen 등 1988;Siris 등 1978;Terao 등 1995;Prusoff 등 1979).
Kulkarni 등(1996)은 급성정신병적 증상을 보인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병 약물에 estrogen병합투여 효과를 연구하여, estrogen을 병합투여한 군에서 항정신병약물 단독으로만 사용한 군보다 더 빠른 호전을 보인다고 보고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있어 estrogen을 보조약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estrogen이 정신분열병의 발병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등의 연구보고를 토대로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에서 항정신병약물의 보조약물로써 estrogen의 효용성을 평가하려는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부산소재 모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로 정신과적 면담 및 관찰을 통하여 DSM-Ⅳ(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진단된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유병기간이 2년 이상인 만성 환자이며, 연구 전 항정신병 약물을 6주이상 동일용량으로 유지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력, 이학적 검사 및 실험실 검사상 심각한 산부인과적 혹은 내과적 질환이 있는 환자, estrogen투약의 금기가 되는 환자(임산부 및 수유부, 진단되지 않은 자궁출혈, 급성 혈관염, 담낭질환, 간질환이 있는 환자), 뇌손상이나 뇌졸중 혹은 간질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약물 및 알콜 남용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등 estrogen투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는 배제하였다. 한편 estrogen은 기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Lon 등 1997;Seeman 1997),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이하 MADRS;Montgomery와 Asberg 1979)’를 이용하여 동반질환으로써 우울증의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총 40명이었다. estrogen의 병합투여 효과를 명확히 평가하기 위해 대상환자들을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어, 복합 estrogen(conjugated estrogen, 이하 estrogen)을 투약한 군(이하 투약군 혹은 EG) 20명과 투약하지 않은 대조군(이하 대조군 혹은 CG) 20명을 비교 평가하였다.
2. 연구방법
투약군 20명에게 conjugated estrogen 1.25mg을 투약중인 항정신병약물과 함께 매일 8주간 병합투여하였다. 연구기간동안 투약군 및 대조군 모두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은 고정하였다. 약물 효과의 평가는 estrogen 투약전 기준시점에서 투약군과 대조군의 연령, 유병기간, 투약중인 항정신병약물을 chlorpromazine등가량으로 계산한 용량, 무월경여부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정신병적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양성 및 음성 증후 척도(Pos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이하 PANSS;Kay 등 1987)’, 전반적 호전도의 측정을 위해 ‘임상 전반적 인상 척도(Clinical Global Impression, 이하 CGI;Guy 1976)’를 이용하였고, 투약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기준시점과 연구 4주, 연구 8주에 걸쳐 3회 평가하였다.
기준시점에서 투약군과 대조군과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령, 투약 중인 항정신병 약물을 chlorpromazine 등가량으로 환산한 용량, 유병기간, 정신병리평가 점수의 평균값을 t-test로 비교하였고, 무월경에 따른 차이는 Chi-square로 비교하였다. 두 군간의 estrogen 투약과 투약 기간에 따른 변화는 반복 측정에 의한 분산분석(ANOVA with repeated measures)으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군내의 투약 기간에 따른 변화가 유의할 때, 사후검증은 Contrast method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신병리의 변화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준시점의 평가점수에서 연구 8주의 평가점수를 뺀 값을 기준시점의 평가점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변화율(공식;연구 X주의 변화율=〔 기준시점값-연구 X주 값〕 / 기준시점 값×100%)을 구하였다. 모든 연구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이상 연구 결과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6.11)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의 p 값은 0.05이하로 하였다,
결과
1. 연구대상의 특징
정신분열병 투약군의 평균 연령은 38.55(±6.85)세이었으며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36.42(±7.49)세였다. 연구전 투약중인 항정신병 약물의 평균용량은 chlorpromazine 100mg을 기준으로 한 등가용량으로 계산하여 투약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742.50(±510.25)mg와 717.10(±446.95)mg이었다. 질환의 평균 유병기간은 투약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8.05(±1.60)년과 8.57(±2.46)년이었다. 연구대상중 무월경을 보인 환자는 투약군 14명, 대조군 15명이었다. 투약군과 대조군사이에 연령, 투약중인 항정신병약물의 용량, 유병기간, 무월경 여부 사이에 투약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의 우울증상을 평가했을 때 기준시점에서 투약군의 MADRS 점수는 9.60(±7.20)점, 대조군 경우는 7.27(±5.81)점으로, 우울증으로 진단되는 절단점(cut-off point)인 16점에 비해 매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표 1).
2. PANSS Scores
1) 양성점수
투약군의 경우 기준시점, 연구 4주, 연구 8주에 각각 26.05(±5.17)점, 20.60(±6.85)점, 18.10(±7.46)점이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23.26(±6.08)점, 23.74(±6.75)점, 23.16(±5.77)점이었다(표 2). 투약군에서 양성점수의 변화율은 30.52%이었으며, PANSS소항목군 점수중 가장 많이 호전되었다(표 3). 통계분석 결과 PANSS 양성증상 점수는 투약군에서 연구 4주부터는 기준시점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p<0.001)를 보였으며, 연구 8주에는 투약군과 대조군 양군간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5). 투약군에서 기준시점에 비하여 연구 4주, 연구 8주에 따라 유의한 변화(time effect within group;p<0.001)를 보여, 사후검증(Contrast method)한 결과 기준시점으로부터 연구 4주(p<0.001)에 양성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표 2).
투약군은 ANOVA분석 결과 ‘estrogen 투약(estrogen effect)’에 대하여 유의하지 않았으나, ‘투약기간(time effect;p<0.001)’ 그리고 ‘estrogen투약과 투약기간과의 교호작용(time by estrogen effect;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는 기준시점으로부터 양성증상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표 2).
2) 음성점수
투약군의 경우 기준시점, 연구 4주, 연구 8주에 각각 24.90(±6.61)점, 22.75(±8.30)점, 21.15(±7.04)점이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각각 27.05(±8.18)점, 28.47(±9.35)점, 28.05(±6.82)점이었다(표 2). 투약군에서 음성점수의 변화율은 15.06%이었다(표 3). 통계분석 결과 PANSS 음성점수는 투약군에서 연구 8주에 기준시점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p<0.01)를 보였으며, 투약군과 대조군의 양군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표 2). 그러나, ANOVA분석 결과 투약군의 음성점수는 ‘estrogen 투약’과 ‘투약기간’ 그리고 ‘estrogen 투약과 투약기간과의 교호작용’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는 기준시점으로부터 음성증상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표 2).
3) 일반정신병리 점수
투약군의 경우 기준시점, 연구 4주, 연구 8주에 각각 44.50(±8.85)점, 39.60(±8.07)점, 38.45(±10.62)점이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42.74점(±9.18), 42.00점(±9.93), 41.16(±9.41)점이었다(표 2). 투약군에서 일반정신병리 점수의 변화율은 13.60%이었다(표 3). 통계 분석결과 PANSS 일반정신병리 점수는 투약군에서 연구 4주부터는 기준시점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p<0.05)를 보였으나, 연구 8주동안 투약군과 대조군 양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투약군에서 기준시점에 비하여 연구 4주, 연구 8주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p<0.01), 사후검증한 결과 기준시점으로부터 연구 4주(p<0.05)에 일반정신병리 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표 2).
투약군은 ANOVA분석 결과 투약기간(p<0.01)에 따라 유의하였으나, ‘estrogen 투약’과
‘estrogen 투약과 투약기간과의 교호작용’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는 기준시점으로부터 일반정신병리증상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표 2).
4) 총점
투약군의 경우 기준시점, 연구 4주, 연구 8주에 각각 95.45(±15.69)점, 82.95(±17.64)점, 77.70(±19.56)점이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93.05(±16.29)점, 94.21(±17.60)점, 92.37(±16.55)점이었다. 투약군에서의 총점의 변화율은 18.60%이었다(표 3). 통계분석 결과 PANSS 총점은 투약군에서 연구 4주부터는 기준시점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01), 연구 8주에는 투약군과 대조군의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투약군에서 기준시점에 비하여 연구 4주, 연구 8주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p<0.001), 사후검증한 결과 기준시점으로부터 연구 4주에 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p<0.01)(표 2).
투약군은 ANOVA분석 결과 ‘estrogen 투약’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투약기간(p<0.001)’, 그리고 ‘estrogen 투약과 투약기간과의 교호작용(p<0.001)’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기준시점으로부터 총점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표 2).
3. CGI scores
투약군의 경우 기준시점, 연구 4주, 연구 8주에 각각 5.45(±0.51)점, 4.25점(±1.12), 4.40점(±1.50)이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5.21(±0.98)점, 5.21(±0.97)점, 5.15(±1.07)점이었다. 투약군에서 CGI의 변화율은 19.27%이었다(표 3). 통계분석결과 CGI 점수는 연구 4주부터는 기준시점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p<0.001)를 보였으며, 또한 투약군과 대조군 양군간의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1). 투약군에서 기준시점에 비하여 연구 4주, 연구 8주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p<0.001), 사후검증한 결과 기준시점으로부터 연구 4주에 CGI 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p<0.001)(표 2).
투약군은 ANOVA분석 결과 ‘estrogen 투약(p<0.05)’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치 않았으나, ‘투약기간(p<0.001)’, 그리고 ‘estrogen 투약 및 투약기간(p<0.001)’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기준시점으로부터 CGI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표 2).
고찰
정신분열병의 약물학적 치료에서 전통적인 항정신병 약물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에 대한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에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clozapine, risperidone, olanzapine, zotepine과 quetiapine 등이 개발되어 난치성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clozapine은 과립구결핍증이라는 치명적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고가인 관계로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과의 병합투여로 약물효과의 강화를 시도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저자들의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여자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약물로써 estrogen 치료효과를 정신병리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투약군에서 연구 8주에 기준시점에 비하여 PANSS의 소항목인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증상과 총점 그리고 CGI에 있어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PANSS 소항목군에서는 증상의 변화율을 볼 때 양성증상군, 음성증상군, 일반정신병리군에서 각각 30.52%, 15.06%, 13.60%로써 양성증상이 가장 높은 호전의 정도를 보였다.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투약군은 연구 8주에 PANSS 총점, 양성증상, 음성증상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다. 연구 기간에 따른 변화에서 투약군은 PANSS의 양성증상, 일반정신병리증상, 총점 그리고 CGI에 있어 연구 4주에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양성증상의 호전을 다른 병합투여 약물과 비교할 때,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서 fluoxetine을 병합투여하여 양성증상이 호전된 보고가 있지만(Goff 등 1990), 심각한 추체외로 부작용이 있었다는 연구(Aranow 등 1989;Ciraulo와 Shader 1990)와 임상적 호전이 없었다는 연구(이민수 등 1997)등 일치하지 않는 소견을 보였다. Benzodiazepine계 약물의 경우 lorazepam과 clonazepam이 정신병적 초조나 긴장증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으나(Bodkin 1990), 명확히 정신병적 증상에 대한 효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lithium을 병합투여한 연구에서 단기 정신병적 평가 척도(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이하 BPRS;Overall과 Gorham 1962)에 있어 유의한 호전을 보였지만 BPRS의 소항목군 중 단지 불안-우울(anxiety-depression)만이 호전되었을 뿐, 사고장애(thought disturbance), 무력증(anergia), 활동성과 적대-의심(activation and hostile-suspiciousness) 항목들에서는 호전이 없었다고 하였다(Terao 등 1995). tegretol을 병합투여한 경우에 항정신병약물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부작용을 호전시켰지만 정신병적 증상호전에는 항정신병 약물만을 단독 투여한 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가 없었다(Dose 등 1987). 이에 반하여 저자들의 연구 결과에서는 estrogen의 병합투여군에서 정신병적 증상에 있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또한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estrogen이 음성증상에도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다른 약물의 병합투여와의 비교에서 fluoxetine이 음성증상에 효과적이라는 일부 보고(Goff 등 1990)가 있으나 그 결과가 반복되지 않았고(이민수 등 1997), alprazolam에서도 음성증상에 효과적이었다는 보고가 있으나(Owen 등 1988), Bodkin(1990)은 alprazolam이 항우울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정신병적 증상 자체에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확실치 않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삼환계 항우울제와 MAO inhibitors의 항정신병 약물과의 병합투여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검토한 Siris 등(1978)의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우울제의 병합투여가 무력증(anergia)이 아닌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효과적인 보고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항우울제와 항정신병 약물을 병합하는 것이 항정신병약물의 단독투여보다 낫지 않으며, 오히려 악화를 가져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결국 이러한 점들은 본 연구에서 병합투여 전략으로써 estrogen을 투여하는 것이 다른 약물을 사용했을 때보다 정신병적 증상의 호전이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Kulkarni 등(1996)의 연구에서는 급성 정신병적 여자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estrogen을 병합투여했을 때의 정신병리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Kulkarni 등(1996)은 estrogen과 항정신병 약물을 병합투여한 군과 항정신병 약물만을 사용한 군에서 BPRS, SAPS(Scale for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 이하 SAPS;Andreasen 1982), SANS(Scale for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이하 SANS;Andreasen 1982)를 이용하여 비교평가하였다. 그 결과 Kulkarni 등(1996)의 연구에서는 연구 5일째에 병합투여군과 항정신병 약물만을 투여한 군 양군간의 BPRS와 SAPS점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구 8주에 이르러서는 양군간의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SANS에 있어서는 연구기간동안 내내 유의한 차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Kulkarni 등(1996)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음성증상에 있어서도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치료 8주에 이르러서도 PANSS 및 CGI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두 연구의 차이는 저자들의 연구는 만성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Kulkarni 등(1996)의 연구는 급성 정신병적 삽화를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었다. 또한 치료에 있어서도 Kulkarin 등(1996)의 연구에서는 급성환자치료를 위하여 항정신병 약물이 선택되고 용량에 있어서도 증감을 하였지만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환자들이 이미 항정신병약물을 투약받고 있는 상태로 유지를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가 다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Kulkarni 등(1996)의 연구는 정신분열병을 포함하여 정신병적 삽화를 가진 조증환자, 그리고 정신분열정동장애와 같은 다른 진단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Estrogen은 우울증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으므로(Lon 등 1997;Seeman 1997), 저자들은 이를 배제하기 위해 연구시점에서 MADRS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투약군, 대조군의 MADRS 평균이 각각 9.60(±7.20)점과 7.27(±5.81)점으로써 일반적으로 우울증으로 진단되는 절단점인 16점에 비해 현저히 낮아 배제할 수 있었다.
Estrogen이 항정신병적 효과를 갖는 기전은 복잡하며 아직 명확하지 않다. Holsboer(1983)는 뇌의 변연계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발견함으로써 에스트로겐의 내분비적 기능외에 뇌의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역할이 있음을 알아냈다. Rieche-Rossler와 Hofner(1993)는 정신분열병과 연관된 estrogen의 효과에 대하여 두가지 가설 즉, 정신분열병 여성은 hypoes-trogenism 과 관련된다는 것과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estrogen의 보호효과(protective effect)를 제시하였다. Di Paolo와 Bedard(1982)는 동물실험에서 장기간 estrogen을 투여했을 때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농도와 수용체 변화를 연구하여 도파민 농도는 감소하고 수용체는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연구에서도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Dupont 등 1981;Foreman과 Porter 1980). 이러한 소견은 estrogen이 항도파민성(antidopaminergic)으로 작용하여 보상작용으로 도파민 수용체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추측케 한다. Gordon 등(1980)의 연구에서는 estrogen이 항정신병약물로 유도된 강경증을 강화시키고, 반면 뇌의 도파민수용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amphetamine과 apomorphine으로 유도된 행동학적 변화를 감소시켜 estrogen의 항도파민성 효과를 제시하였다.
한편 도파민 수용체보다 세로토닌 수용체에 더 높은 친화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clozapine이나 risperidone과 같은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Edwards 1994;Janssen 등 1988)의 개발로 세로토닌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ummer와 Fink(1993)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estrogen이 배측 봉선핵(dorsal raphe nucleus)에서 세로토닌 수용체의 mRNA의 표현(expression)을 자극한다고 발표하였다. 뒤이은 연구에서 Fink 등(1996)은 estrogen을 투여시 뇌의 전두부와 대상 및 일차성 후각피질(cingulate and primary olfactory cortex) 그리고 측중격핵(nucleus accumbens)에서 5-hydroxytryptamine 2A (5-HT 2A) 결합부위의 농도를 증가시켰다는 보고를 하여, estrogen이 도파민은 물론 세로토닌계에 영향을 줌으로써 뇌의 기분, 정신상태 그리고 기억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준 estrogen의 항정신병적 효과를 몇가지로 가정할 수 있었다. 첫째는 Rieche-Rossler와 Hafner의 가정과 관련하여 정신분열병이 만성 estrogen 결핍증후군이라 가정할 때 estrogen에 대한 보충은 정신분열병을 호전시킬 것이다. 둘째 정신분열병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도파민과 세로토닌계에 대한 estrogen의 영향이다. 이에 대하여는 아직 연구가 진행중이긴 하지만 최소한 estrogen은 도파민과 세로토닌계에 영향을 주며 이런 영향이 항정신병적 효과를 가져왔을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수가 적다는 것이고 이중맹검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여성의 호르몬 주기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점등이다. 또한 estrogen과 항정신병약물과의 상호관계나 estrogen이외의 여성의 성호르몬과의 관련성도 고려되어야 할 점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방형 임상시도로써 연구 결과 estrogen의 병합투여가 대조군에 비해 정신병리의 호전에 있어 명확하였고, 향후 더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있어 estrogen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요약
본 연구는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estrogen병합투여 효과를 정신병리 측면에서 조사한 것이다. Estrogen 투약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8주에 걸쳐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PANSS, CGI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8주간의 연구기간동안 PANSS, CGI모두에서 투약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투약군에서 연구 8주동안의 PANSS 각 소항목군의 변화율은 양성증상 30.52%, 음성증상 15.06%, 일반정신병리증상 13.60%로 양성증상이 다른 군에 비하여 큰 호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만성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과 estrogen의 병합투여가 치료적 효과적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estrogen의 항정신병적 효과의 기전은 명확치 않지만, estrogen이 뇌에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체계에 영향을 주어 정신분열병의 호전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ERENCES

유영운·김승현·이민수(1994):정신분열증 환자에서 Sertraline 병합투여시 혈중 Haloperidol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43:544-552
이민수·한창수·김제원·원경식·곽동일(1997):fluoxetine과 haloperidol의 병합투여시 정신병리 및 추체외로 증상의 변화. 생물정신의학 4:121-131
정한용·이민수·곽동일(1994):정신분열증 환자에서 fluoxetine투여에 따른 임상반응과 혈청 Haloperidol, Reduced Haloperidol 및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고대논문집 31:377-392
한창수·이민수·김표한(1996):만성정신분열증 환자에서 paroxetine과 haloperidol 병합투여시 정신병리 증상과 haloperidol, reduced haloperidol 혈중 농도의 변화. 생물정신의학 3:251-25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Andreasen NC(1982):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Definition and reliability. Arch Gen Psychiatry 39:784
Aranow RB, Hudson JI, Pope HG, Grade TA, Laage TA, Bell IR, Cole JO(1989):Elevated antidepressant plasma levels after addition of fluoxetine. Am J Psychiatry 146:911-913
Becker RE(1983):Implications of the efficacy of thiothixene and a chlorpromazine-imipramine combination for depression in schizophrenia. Am J of Psychiatry 140:208-211
Bodkin JA(1990):Emerging uses for high-potency benzodiazepines in psychotic disorder. J Clin Psychiatry 51(5, suppl):41-46
Ciraulo DA, Shader RI(1990):Fluoxetine Drug-Drug Interactions: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J Clin Psychopharmacol 10:48-50
Di Paolo T, Bedard PJ(1982):Effect of estradiol on intact and denervated striatal dopamine receptors and on dopamine levels:a biochemical and behavioral study. Can J Physiol Pharmacol 60:350-357
Dose M, Apelt S, Emrich HM(1987):Carbamazepine as an adjunct of antipsychotic therapy. Psychiatry Res 22:303-310
Dupont A, Di Paolo T, Gagne B, Barden N(1981):Effects of chronic estrogen treatment on dopamine concentrations and turnover in discrete brain nuclei of ovariectomized rats. Neuroscience Letters 22:69-74
Edwards JC(1994):Risperidone for schizophrenia. Br Med J 308:1311-1312
Endo M, Daiguji M, Asano Y, Yamashita I, Takahashi S(1978):Periodic psychosis recurring in association with menstrual cycl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39:456-466
Fink G, Summer B, Rosie R, Grace O, Quinn J(1996):Estrogen control of central neurotransmission:effect on mood, mental state, and memory. Cell Mol Neurobiol 16:325-344
Foreman MM, Porter JC(1980):Effects of catechol estrogens and catecholamines on hypothalamic and corpus striatal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Journal of Neurochemistry 34:1175-1183
Goff DC, Brotman AW, Waites M, McCormick S(1990):Trial of fluoxetine added to neuroleptics for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c patients. Am J of Psychiatry 147:492-494
Gordon JH, Borison RL, Diamond BI(1980):Modulation of dopamine receptor sensitivity by estrogen. Biological Psychiatry 15:389-396
Guy W(1976):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p218-222
Hafner H(1987):Epidemiology of schizophrenia. In:Search for the Causes of Schizophrenia Ed by Hafner H , Gattaz WF , Janzarik W , Vol I. Berlin West Germany, Springer Verlag, pp47-74Hales RF, Yudofsky SC, Talbott JA(1994):Textbook of psychiatry.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pp411-465
Holsboer F(1983):Hormones, In:Psychopharmacology, Ed by Hippius H, Winokur G. Amsterdam, The Netherlands, Elsevier, pp144-161
Janssen P, Niemegeers C, Awouters F, Schellekens K, Megens A, Meert T(1988):Pharmacology of risperidone(R 64 766), a new antipsychotic with serotonin-S2 and Dopamine-D2 antagonistic properties. J Pharmacol Exp Ther 244:685-693
Kay SR, Fiszbein A, Opler LA(1987):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for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20:219-222
Kulkarni J, Castella de A, Smith D, Taffe J, Keks N, Copolov D(1996):A clinical trial of the effects of estrogen in acutely psychotic women. Schizophr Res 20:247-252
Lon S, Schneider, Gary WS, Susan HH, Alexander B, Charles BN, Barnett SM(1997):Estrogen Replacement and Response to Fluoxetine in a Multicenter Geriatric Depression Trial. Am J Geriatric Psychiatry 5:97-106
Montgomery SA, Asberg M(1979)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Br J Psychiatry 134:382
Nott PN(1982):Psychiatric illness following childbirth in Southampton:A case register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12:557-561
Overall JE, Gorham DR(1962):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Psychol Rep 10:799
Owen M, Wolkowitz, Breier A, Doran A, Kelsoe J, Lucas P, Paul S, Pickar D(1988):Alprazolam augmentation of the antipsychotic effects of fluphenazine in schizophrenic patients. Arch Gen Psychiatry 45:664-671
Prusoff VA, William DA, Weissman MM, Astrachan BM(1979):Treatment of secondary depression in schizophrenia. Arch of Gen Psychiatry 36:569-575
Riecher-Rssler A, Hfner H(1993):Schizophrenia and Oestrogens-is There an Association?.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42:323-328
Seeman VM(1983):Interaction of sex, age and neuroleptic dose. Comprehensive psychiatry 24:125-128
Seeman VM(1997):Psychopathology in women and men; focus on female hormones. Am J Psychiatry 154:1641-1647
Seeman VM, Lang M(1990):The role of estrogens in schizophrenia gender differences. Schizophr Bull 16:185-194
Siris SG, van Kammen DP, Docherty JP(1978):Use of Antidepressant Drugs in Schizophrenia. Arch Gen Psychiatry 35 1368-1377
Summer BEH, Fink G(1993):Effects of acute estradiol on 5-hydroxytryptamine and dopamine receptor subtype mRNA expression in female rat brain. Mol Cell Neurosci 4:83-92
Terao T, Oga T, Nozaki S, Ohta A, Ohtsubo Y, Yamamoto S, Zamami M, Okada M(1995):Lithium addition to neuroleptic treatment in chronic schizophrenia: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Acta Psychiatr Scand 92: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