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1, 2023

Vol.30 No.2, pp. 84-88


Review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Volume 8(2); 2001
  • Article

Review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001;8(2):258-65. Published online: Feb, 1, 2001

Assessment of Cognitive Disorders in Alcoholics Using the 7 Minute Screening Battery

  • Jin-Sook Cheon, MD1;Han-Cheol Yoon, MD1;Kwang-Young Lee, MD2; and Byoung-Hoon Oh, MD3;
    1;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2;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3;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Objectives:Chronic alcohol consumption has been known to result in various neurocognitive deficits. Many neuropsych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major disturbances occurred in the executive function, learning and short-term memory, visuospatial performance function, perceptuo-motor skills, and abstrac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ich cognitive areas might be mainly affected.

Methods:The cognitive disturba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 K) and the 7 Minute Screen(7MS) in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N=31) as well as in age and education level matched healthy male controls(N=30). Four individual tests of the 7MS were consisted of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the Enhanced Cued Recall, the Clock Drawing and the Category Fluency.

Results:1) The average scores of four individual test of the 7MS for the alcoholics were 2.77±4.38 for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13.90±2.02 for the Memory Test(the Cued Recall 6.77±1.94, the Uncued Recall 7.10±2.45), 5.84±1.86 for the Clock Drawing, and 12.58±3.29 for the Category Fluency. Except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st scores of alcoholics and those of controls(p<0.01). 2) The alcoholics who had MMSE-K score <24 were 9.68%. The average(±S.D.) score of the MMSE-K for the patient group(27.23±2.62) was significantly(p<0.001) lower than that of the healthy controls(29.20±1.2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our individual test scores of the 7MS of alcoholics with the MMSE-K score <24(N=3) and those of alcoholics with the MMSE-K score ≥24(N=28). 3) Four individual test scores of the 7MS seem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ch variables as MMSE-K, duration of alcohol drinking, blood magnesium concentration, liver function and thyroid function.

Conclusion:Mild deficits of cognitive areas such as orientation,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verbal fluency could be found in alcohol dependence.

Keywords Alcohol dependence;Neurocognitive deficit;The 7 Minute Screen;Executive function;Short-term memory;Visuospatial.

Full Text

교신저자:전진숙, 602-702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34번지 
              전화) (051) 990-5070, 전송) (051) 241-5069, E-mail) cheonjs@kosin.md

서     론


   주정으로 유도된 뇌손상의 발생빈도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여러 연구 결과들은 만성적인 주정의존 환자의 50~75%에서 어느 정도의 인지장애를 지닌다고 알려졌다(Charness 1993). 주정의존 환자의 약 10%는 심한 치매를 보이며, 사후부검 연구에서 주정의존 환자의 12.5%가 Wernicke-Korsakoff 증후군의 특징적인 뇌 병소를 보이고 있다(Dufour 1993).
   주정의존 환자에서 뇌장애의 근거들은 신경심리학적 연구, 뇌영상화 연구, 신경병리학적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해독과정을 거친 주정의존 환자에서 경도의 인지장애가 신경심리학적 검사상 50~70%에서 관찰되었다. 뇌영상화연구에서 전반적인 뇌위축의 소견들이 보였으며(전진숙 등 1983), 이는 노인 주정의존 환자에서 더욱 현저하였다(Pfefferbaum과 Rosenbloom 1993). 신경생리학적인 연구에서도 다양한 정보과정에 예민한 다수의 사건관계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이하 ERP) 구성원이 주정의존 환자에서 변칙적임이 발견되었다(Porjesz와 Begleiter 1993).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는 대뇌피질, 백질, 간뇌, 뇌간, 척수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었다(Harper와 Kril 1993). 특히 주정의존 환자에서 보이는 정서적 이상, 탈억제, 보속적인 반응, 문제해결 능력의 이상, 집중력 장애 등은 양측 전두엽 병소의 소견이 지배적임을 제시한다(Oscar-Berman과 Hutner 1993).
   주정의존 환자에서 보이는 인지장애는 치매에서 보다 경하므로, 경한 치매의 선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7분선별검사(The 7 Minute Screen, 이하 7MS)를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겠다. 첫째, 주정의존환자에서 인지장애의 빈도가 어느 정도 되며, 어떠한 인지영역에 주로 장애가 오는지 알아본다. 둘째, 주정의존 환자에서 7분선별검사가 경미한 인지장애의 식별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며, 또한 식별력을 한국판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과 비교해 본다. 세째, 음주력(심한 정도, 기간, 초발연령, 유형, 가족력, 다른 정신병리 등), 우울증, 신체적 합병증(간기능, 전해질, 빈혈,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말초신경염 등) 등 여러 변인과 알코올성 인지장애의 연관성을 검토해 본다. 마지막으로, 문헌고찰을 통하여 주정의존에서 인지장애의 기전을 유추해 본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으로서는 2000년 8월초부터 2001년 7월말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경정신과에 DSM-IV 진단기준(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에 의거하여 주정의존으로 입원한 남자 환자 31명을 선택하였다. 그들은 두부외상의 기왕력이 없었으며, 주정으로 인한 경도의 내과적 합병증 외에 심한 신경과적 및 내과적 신체질환의 기왕력도 없었다. 
   대조군으로서는 환자군과 교육수준과 연령을 맞춘 건강한 자원자인 남자 30명을 선택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신경정신과적 및 내과적 질환의 기왕력이 없었다.
   평균 연령은 환자군 44.87(표준편차 9.03)세, 대조군 46.30 (표준편차 10.21)세 였으며, 평균 교육수준은 환자군 10.61(표준편차 3.40)년, 대조군 10.80(표준편차 3.39)년으로서, 연령과 교육수준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 

2. 연구방법
  
환자군은 입원하여 최소한 1주 이상의 해독 과정을 거친 후 MMSE-K(권용철과 박종한 1989;박종한과 권용철 1989)와 7MS(Solomon 등 1998;Solomon과 Pendlebury 1998)를 시행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적 면담을 통하여 음주력을 상세히 알아보았으며, 주정의존의 심한 정도는 한국판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MAST-K)(장환일과 전진숙 1985)로 평가하고, 우울증 여부 및 심한 정도는 Hamilton Depression Scale로 평가하였다. 신체적 합병증과 주정성 인지장애의 연관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전해질검사, 전혈검사, 간기능검사, 갑상선기능검사, 혈당검사, 지방대사검사 및 말초신경염 유무를 규명하기 위한 근전도검사 등 제반 검사실 검사들도 시행하였다(표 2).
   대조군에 대해서도 정신병리를 선별하기 위한 간략한 정신의학적 면담을 시행 후, 환자군에서와 마찬가지로 MMSE-K와 7MS를 시행하였다. 

3. 통계분석
  
얻어진 자료들은 SPSS 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대조군과 환자군의 인구학적 특징 및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의 차이는 Student t-Test로 통계적 유의성이 검토되었다. 또한 환자군에서 MMSE-K 23점을 분절점으로 하여 두 그룹으로 나눈 후, Mann-Whitney Test와 Two-Sample Kolmogorov-Smirnov Test를 사용하여 양군의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Pearson의 상관계수로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와 여러 변인 간의 연관성이 검토되었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결     과

1. 주정의존군과 대조군에서 7분선별검사의 비교
  
주정의존군과 대조군에서 7분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
   대조군에서 7분선별검사상 네가지 소검사별 평균점수는 지남력검사 1.20(표준편차 1.27), 기억력검사상 전체 15.20(표준편차 1.42), Cued Recall 4.37(표준편차 2.20), Uncued Recall 10.83(표준편차 2.94), 시각공간력검사 7.00(표준편차 0.00), 언어적 유창성 21.03(표준편차 2.36)점이었다.
   주정의존군에서 7분선별검사상 네가지 소검사별 평균점수는 지남력검사 2.77(표준편차 4.38), 기억력검사상 전체 13.90(표준편차 2.02), Cued Recall 6.77(표준편차 1.94), Uncued Recall 7.10(표준편차 2.45), 시각공간력검사 5.84(표준편차 1.86), 언어적 유창성 12.58(표준편차 3.29)점이었다.
   지남력검사를 제외하고는 기억력검사(p<0.01), 시각공간력검사(p<0.005), 언어적 유창성(p<0.001) 검사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MMSE-K에 따른 7분선별검사의 비교
  
주정의존군에서 MMSE-K 24점 미만은 9.68%였으며, 평균점수는 27.23(표준편차 2.62)점으로서, 대조군의 평균점수 29.20(표준편차 1.24)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1) 차이를 보였다(표 1). 
   MMSE-K 24점 미만인 주정의존군(N=3)과 MMSE-K 24점 이상인 주정의존군(N=28)의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는 다음과 같다(표 4). 즉, MMSE-K 24점 미만인 주정의존군(N=3)에서 지남력검사의 평균점수는 3.33(표준편차 2.08), 기억력검사의 평균점수는 13.67(표준편차 2.08), 시각공간력검사의 평균점수는 4.00(표쥰편차 3.61), 그리고 언어적 유창성검사의 평균점수는 11.33(표준편차 3.06)이었다. MMSE-K 24점 이상인 주정의존군(N=28)에서 지남력검사의 평균점수는 2.71(표준편차 4.58), 기억력검사의 평균점수는 13.93(표준편차 2.05), 시각공간력검사의 평균점수는 6.04(표준편차 1.57), 그리고 언어적 유창성검사의 평균점수는 12.71(표준편차 3.34)이었다. 
   환자군에서 MMSE-K 24점 미만인 주정의존군(N=3)과 MMSE-K 24점 이상인 주정의존군(N=28)의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7분선별검사에 영향 미치는 요인
  
주정의존군에서 7분선별검사의 네가지 소검사 점수는 다음의 변인과 연관성이 있었다(표 5). 즉, MMSE-K는 기억력검사(r=0.483, p<0.01) 및 시각공간력검사(r=0.561, p<0.01)와 순상관성, 지남력검사(r=-0.379, p<0.05)와 역상관성이 있었다. 음주기간은 Uncued Recall과 역상관성(r=-0.380, p<0.05), Cued Recall과는 순상관성(r=0.451, p<0.05)을 보였다. 혈중 마그네슘 농도는 Uncued Recall(r=-0.432, p<0.05) 및 언어적 유창성(r=-0.458, p<0.01)와 역상관성을 보였다. SGOT는 언어적 유창성 검사와 역상관성(r=-0.361, p<0.05)이 있었다. 갑상선검사상 T3는 지남력검사와 순상관성(r=0.528, p<0.05), TSH(r=-0.664, p<0.01)와 유리 T4(r=-0.550, p<0.05) 는 시각공간력검사와 역상관성이 있었다. 
   요약하면, 주정의존군에서 7분선별검사의 네가지 소검사 점수는 MMSE-K, 음주기간, 혈중 마그네슘 농도, 간기능 및 갑상선기능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고     찰

   만성 주정의존의 신경심리학적 장애는 전행성 및 후행성 기억장애, 시지각 및 문제해결의 장애, 언어유창 과제의 수행장애, 추상적 개념형성의 장애이다(Reichman 1994). Parsons (1993)는 알코올 관계된 치매를 지닌 주정의존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언어, 시각공간, 지각운동(perceptual-motor), 어의적 기억(semantic memory)의 기능이 저하된다고 보고하였다. 알코올은 특히 명시기억(explicit memory)에 장애를 초래하며(Duka 등 2001), 대상기억(object memory) 보다는 공간기억(spatial memory)에 장애를 가져오고(Uecker와 Nadel 1998), 어의와 밀접히 연관된 항목의 암호화(encoding)나 회상(retrieval)에 장애가 오며(Weissenborn과 Duka 2000), 언어적 및 비언어적 정보의 회상과 시각공간 기능의 결함을 초래한다(Brown 등 2000). 단주하여도 기억과 실행력(executive skills)은 회복이 느리며, 시각공간 기술의 장애는 절충된 실행기능에 관계된다(Munro 등 2000). 본 연구에서도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제외하고 기억력, 시각공간력, 언어적 유창성을 평가할 수 있는 7분선별검사의 소검사에서 정상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알코올과 연관된 인지장애는 알코올의 신경독성, 비타민 B 결핍, 간기능부전 등에 기인된다(전진숙 2000b). 이중 세번째는 가장 덜 중요하며, 뇌 부위에 따라서 상기한 두 병인에 대한 소지도 달라서, 소뇌는 thiamine 결함으로 인해 더욱 손상받기 쉽고, 전두피질내 신경단위는 알코올 또는 그 대사물에 좀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전진숙 2000a). Homewood 등(1997)과 Ambrose 등(2001)도 주정의존에서 기억장애는 thiamine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Homewood와 Bond (1999)는 thiamine 외의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하였다. Ozkaragoz 등(1997)은 유전적인 성향을 지적하였으며, Keenan 등(1997)도 주정의존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더 잘 나타난다고 말하였다. Savage 등(2000)은 여성의 뇌가 좀 더 알코올의 독작용에 영향을 받기 쉽다고 보고하였다. 음주량과 혈중 알코올 농도가 관계된다는 보고도 있다. 즉, 적당한 음주는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되는 수도 있고(Nixon 등 1998;Elias 등 1999), 기억의 후행적 촉진(retrograde facilitation)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보고(Bruce 등 1999)도 있으나, 대체로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신경심리학적 장애와 순상관성이 있으며(Bombardier와 Thurber 1998), 정신운동 수행과도 연관된다(Grant 2000). 그러나 Beatty 등(2000)은 신경심리학적 결함의 심한 정도는 음주량이나 음주기간과 무관하다고 주장하였다. Nordby 등(1999)은 알코올은 적당량이라도 이미 나약해진 단기기억 중추의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Parsons(1998)도 신경인지 결함의 유무나 크기는 알코올이나 그 대사물의 독작용에 대한 뇌의 취약성에서의 개인적 차이에 기인된다고 말하였다. Kokavec과 Crowe(1999)는 음주양태가 중요하며, 매일 일정하게 음주하는 것이 어쩌다 폭음하는 경우보다 인지수행에 더욱 나쁜 결과를 보였다. Bruce 등(1999)은 음주후 기억 점수는 연령 및 어휘력과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하기도 하였으며, Polo 등(1999)도 뇌에 대한 알코올의 독작용은 연령에 관계된다고 말하였고, Sullivan 등(2000)은 연령과 음주량이 인지장애의 예측인자라고 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분선별검사의 소검사들이 음주기간, 혈중 마그네슘 농도, 간기능, 갑상선 기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므로, 알코올에 의한 직접적인 신경 독작용 외에 비타민 결핍을 비롯한 여러 복합적인 인자가 알코올 관계된 인지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Korsakoff 환자는 간뇌에 심한 퇴행이 오며, 따라서 새로운 정보의 학습과 기억이 어려운 전행성 기억상실증(anterograde amnesia)이 온다(Cermak 1993). Arendt 등(1988)은 사람에서 알코올 유도된 기억장애는 중뇌 구조물의 손상 뿐만 아니라 피질하 NE과 콜린계의 결함에도 기인되며, 흰쥐의 피질과 해마에 콜린계 태아 기저전뇌 세포 부유액을 이식함으로써 콜린계 기능의 장애와 연관된 기억상실을 역전시킬 수 있었다. Catafau 등(1999)은 주정의존에서 정서적 기억(emotional memory) 은 내측 측두엽 구조물과 기저핵(basal ganglia) 등 opioid 수용체가 풍부한 부위에 연관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만성 주정의존 환자에서 임상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이 분명해지기 전에 전두엽의 기능부전이 일어나며, 이것이 알코올에 관계된 신경심리학적 및 행동적 장애의 원인으로서 중요하다(Dao-Castellana 등 1998). Sullivan 등(2000)은 소뇌-전두계(cerebellar-frontal system), 전전두(prefrontal)피질과 두정(parietal)피질 사이의 피질-피질계(corticocortical system)의 관련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Ciesielski 등(1995)은 주정의존에서 전두부 기능부전으로 인한 정신운동 지연, 집중력 감퇴, 즉시기억(immediate memory) 등의 증상은 조기노화(premature aging)의 증후와 유사하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전형적인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알코올 관계된 인지결함은 임상적으로 차이가 있다(Saxton 등 2000). 즉,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는 직면명명(confrontation naming), 인식기억(recognition memory), 동물이름대기(animal fluency), 지남력의 장애가 좀 더 많이 보이나, 알코올성 치매 환자는 첫문자 유창성(initial letter fluency), 미세운동조절(fine motor control), 자유회상(free recall)에서 더 많은 장애를 보인다. 
   주정의존 환자에 대한 여러 뇌영상화 연구에서 뇌위축과 뇌실 확장의 소견은 많이 알려져 있다(전진숙 등 1983;Pfefferbaum과 Rosenbloom 1993;Oscar-Berman과 Hutner 1993). 알코올 관계된 뇌손상에서 보이는 신경병리학적인 변화는 대뇌피질, 백질, 해마, 기저핵, 시상, 시상하부, 기저전뇌(basal forebrain), 뇌간, 뇌교중심부(center of basis pontis), 청반(locus ceruleus), 봉선핵(raphe nuclei), 소뇌, 척수 등에서 보인다(Harper와 Kril 1993). 동물실험에서도 알코올에 의한 인지장애가 해마의 병변에 기인된다는 보고들이 많다(전진숙 1987;전진숙 1997;Walker 등 1993b;Uecker와 Nadel 1998;Ryabinin 1998). 주요 병소는 유두체, 제 3 및 제 4 뇌실주변, 수도(aqueduct)에 있고, 신경교증(gliosis)이 동반된 신경단위 소실이 나타난다(Mann 등 1994). 전자현미경 하에서 신경단위 내에 비정상적인 핵내(intranuclear inclusions) 및 수상돌기 봉입체(dendritic inclusions), mitochondria의 퇴행성 변화, 신경단위내 lipofuscin 색소의 조기축적 등 미세구조물의 변화가 나타난다(Pentney 1993). 
   최근에 알코올 관계된 인지장애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으로서 다음과 같은 학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유리기(free radical) 반응에 의한 연접손상설(Hunt 1993;Pellmar 1993), NMDA 중계된 흥분독성설(Crews와 Chandler 1993), nitric oxide에 의해서 중계된 glutamate 흥분독성설(Lancaster 1993a), 알코올 유도된 백질 손상의 자가면역설(Lancaster 1993b), neurotrophin 감소설(Walker 1993a), 간-뇌 상호작용설(Harper와 Kril 1993;Tarter 등 1993), 그리고 콜린계 구심성 섬유 차단설(Arendt 등 1983;Arendt 등 1988;Arendt 1993;Martin과 Nimmerrichter 1993) 등이 제시되고 있다.

결     론

   주정의존 환자에서 어떠한 인지영역에 주로 장애가 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주정의존으로 입원한 남자환자 31명과 연령과 교육수준을 맞춘 정상 남자대조군 30명에 대해서 MMSE-K 및 7분선별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정의존군에서 7분선별검사상 네가지 소검사별 평균점수는 지남력검사 2.77(표준편차 4.38), 기억력검사상 전체 13.90 (표준편차 2.02), Cued Recall 6.77(표준편차 1.94), Uncued Recall 7.10(표준편차 2.45), 시각공간력검사 5.84(표준편차 1.86), 언어적 유창성 12.58(표준편차 3.29)점이었으며, 지남력검사를 제외한 나머지 소검사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주정의존군에서 MMSE-K 24점 미만은 9.68%였으며, 평균점수는 27.23(표준편차 2.62)점으로서, 대조군의 평균점수 29.20(표준편차 1.24)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환자군에서 MMSE-K 24점 미만인 주정의존군(N=3)과 MMSE-K 24점 이상인 주정의존군(N=28)의 7분선별검사 소검사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주정의존군에서 7분선별검사의 네가지 소검사 점수는 MMSE-K, 음주기간, 혈중 마그네슘 농도, 간기능 및 갑상선기능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정의존군에서는 지남력, 기억력, 시각공간력, 언어적 유창성 등의 인지영역에서 경도의 기능장애를 볼 수 있었다.

REFERENCES

권용철·박종한(1989):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 1 편: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8 : 125-135

박종한·권용철(1989):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 2 편 : diagnostic validity. 신경정신의학 28:508-513

장환일·전진숙(1985):한국에서 Michigan 주정의존 선별검사의 적용에 대한 예비 조사. 신경정신의학 24:46-53

전진숙(1987):주정 장기투여시 흰쥐 해마 추체세포군 및 치상회 과립세포군의 조직학적 변화. 신경정신의학 26:405-415

전진숙(1997):주정이 백서의 단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주정성 치매의 기전. 노인정신의학 1:81-95

전진숙(2000a):알코올과 노화:신경생물학적 영향. 노인정신의학 4 : 39-49

전진숙(2000b):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노인정신의학 4:58-71

전진숙·이성주·장환일(1983):만성 주정중독 환자의 전산화단층촬영술에 의한 뇌실 및 구 계측. 대한신경과학회지 1:60-68

Ambrose ML, Boweden SC, Whelan G(2001):Thiamine treatment and working memory function of alcohol-dependent people: preliminary findings. Alcohol Clin Exp Res 25:112-1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194-204

Arendt T(1993):The cholinergic deafferentiation of the cerebral cortex induced by chronic consumption of alcohol:reversal by cholinergic drugs and transplantation. In:NIAAA Research Monograph No 22, 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431-460

Arendt T, Allen Y, Sinden J, Schugens MM, Marchbanks RM, Lantos PL, Gray JA(1988):Cholinergic-rich transplants reverse alcohol-induced memory deficits. Nature 332:448-450

Arendt T, Bigl V, Arendt A, Temmstedt A(1983):Loss of neurons in nucleus basalis of meynert in Alzheimer's diease, paralysis agitans and Kosakoff`s diease. Acta Neuropathol 61:101-108

Beatty WW, Tivis R, Stott HD, Nixon SJ, Parsons OA(2000):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sober alcoholics:influences of chronicity and recent alcohol consumption. Alcohol Clin Exp Res 24:149-154

Bombardier CH, Thurber CA(1998):Blood alcohol level and early cognitive statu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2:725-734

Brown SA, Tapert SF, Granholm E, Delis DC(2000):Neurocognitive functioning of adolescents:effects of protracted alcohol use. Alcohol Clin Exp Res 24:164-171

Bruce KR, Pihl RO, Mayerovitch JI, Shestowsky JS(1999a):Alcohol and retrograde memory effects: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J of Studies on Alcohol 60:130-136

Bruce KR, Shestowsky JS, Mayerovitch LI, Pihl RO(1999b):Motivational effects of alcohol on memory consolidation and heart rate in social drinkers . Alcohol Clin Exp Res 23:693-701

Catafau AM, Etcheberrigaray A, Cobos JP, Estorch M, Guardia J, Flotats A, Berna L, Mari C, Casas M, Carrio I(1999):Regional cerebral blood flow changes in chronic alcoholic patients induced by naltrexone challenge during detoxification. J Nucl Med 40:19-24

Cermak LS(1993):Memory deficits in alcoholic Kosakoff patients,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157-171

Charness ME(1993):Clinical and pathologic overview of the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15-36

Ciesielski KT, Waldorf AV, Jung RE(1995):Anterior brain deficits in chronic alcoholism cause or effect? J Nerv Ment Dis 183:756-761

Crews FT, Chandler LJ(1993):Excitotoxicity and the neuropathologiy of ethanol.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355-371

Dao-Castellana MH, Samson Y, Legault F, Martinot JL, Aubin HJ, Crouzel C, Feldman L, Barrucand D, Rancurel G, Feline A, Syrota A(1998):Frontal dysfunction in neurologically normal chronic alcoholic subjects:metabolic and neuropsycholgical finding. Psychol Med 28:1039-1048

Dufour MC(1993):The epidemiology of alcohol induced brain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14

Duka T, Weissenborn R, Dienes Z(2000):State-dependent effects of alcohol on recollective experience, familiarity and awareness of memories. Psychopharmacology. 153:295-306

Elias PK, Elias MF, Agostino RB, Silbershatz H, Wolf PA(1999):Alcohol consump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Am J Epidemiol 150:580-589

Grant SA, Millar K, Kenny GNC(2000):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psychomotor effects. Br J Anaesth 85:401-406

Harper CG, Kril JJ(1993):Neuropatoligical changes in alcoholics.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39-69

Homewood J, Bond NW(1999):Thiamin deficiency and Korsakoff`s syndrome:failure to find memory impairments following nonalcoholic Wernicke`s encephalopathy. Alcohol 19:75-84

Homewood J, Bond NW, Mackenzie A(1997):The effects of single and repeated episodes of thiamin deficiency on memory in alcohol-consuming rats. Alcohol 14:81-91

Hunt WA(1993):Role of free radical reactions in ethanol-induced brain damage: an introductio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327-338

Keenan E, O'Donnell C, Sinanan K, O'Callaghan E(1997):Severity of alcohol dependence and its relationship to neurological soft signs,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 and family history. Acta Psychiat Scand 95:272-276

Kokavec A, Crowe SF(1999):A comparison of cognitive performance in binge versus regular chronic alcohol misusers. Alcohol & Alcoholism 34:601-608

Lancaster FE(1993a):Nitric oxide and ethanol-induced brain damage- a hypothesis. In: 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373-386

Lancaster FE(1993b):Ethanol and white matter damage in the brai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387-399

Mann DMA, Neary D, Testa H(1994):Cortisol encephalopaties. In:Color Atlas and Text of Adult Dementias, Baltimore, Mosby-Wolfe, pp23-96

Martin PR, Nimmerrichter AA(1993):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lcohol-induced brain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461-477

Munro CA, Saxton J, Butters MA(2000):The neuro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abstinence among older alcoholics:A cross-sectional study. Alcohol Clin Exp Res 24:1510-1516

Nixon SJ, Paul R, Philips M(1998):Cognitive efficiency in alcoholics and polysubstance abusers. Alcohol Clin Exp Res 22:1414-1420

Nordby K, Watten RG, Raanaas RK, Magnussen S(1999):Effects of moderate dose of alcohol on immediate recall of numbers:some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technology. J Stud Alcohol 60:873-878

Oscar-Berman M, Hunter N(1993):Frontal lobe changes after chronic alcohol ingestio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121-156

Ozkaragoz T, Satz P, Noble EP(1997):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sons of active alcoholic, recovering alcoholic, social drinking fathers. Alcohol 14:31-7

Parsons OA(1993):Impaired neuropsychological cognitive functioning in sober alcoholics.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173-194

Parsons OA(1998):Neurocognitive deficits in alcoholics and social drinkers. Alcohol Clin Exp Res 22:954-961

Pellmar TC(1993):Do free radicals contribute to ethanol-induced synaptic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339-354

Pentney RJ(1993):Altera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cerebellum after long-term ethanol consumptio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249-276

Pfefferbaum A, Rosenbloom M(1993):In Vivo imaging of morphological brain alterations associated with alcoholism.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71-87

Polo MD, Escera C, Gual A, Grau C(1999):Mismatch negativity and auditory sensory memory in chronic alcoholics. Alcohol Clin Exp Res 23:1744-1750

Porjesz B, Begleiter H(1993):Neurophys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alchoholism.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89-120

Reichman WE(1994):Nondegenerative dementing disorders. In:Testbook of Geriatric Nuropsychiatry, Ed by Coffey CE, Cummings JL, Lovell MR, Pearlson G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pp369-388

Ryabinin AE(1998):Role of hippocampus in alcohol-induced memory impairment:implications from behavioral and immediate early gene studies. Psychopharmacology 139:34-43

Savage LM, Candon PM, Hohmann HL(2000):Alcohol-induced brain pathology and behavioral dysfunction:using an animal model to examine sex differences. Alcohol Clin Exp Res 24:465-475

Saxton J, Munro CA, Butters MA, Schramke C, McNeil MA(2000):Alcohol,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comparison of neuropsychological profiles. J Geriatr Psychiatry Neurol 13:141-149

Solomon PR, Hirschoff A, Kelly B, Relin M, Brsh M, DeVeaux RD, Pendlebury WW(1998):A 7 minute neurocognitive screening battery highly sensitive to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5:349-355

Solomon PR, Pendlebury WW(1998):Recognition of Alzheimer's disease:the 7 Minute Screen. Family Medicine 30:265-271

Sullivan EV, Rosenbloom MJ, Pfefferbaum A(2000):Pattern of motor and cognitive deficits in detoxified alcoholic men. Alcohol Clin Exp Res 24:611-621

Tarter RE, Arria A, Van Thiel DH(1993):Liver-brain interactions in alcoholism.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415-429

Uecker A, Nadel L(1998):Spatial but not object memory impairments in children with fetal alcohol syndrome. Am J on Mental Retardation 103:12-18

Walker DW, Heaton MB, Hunter BE(1993a):A role for neurotrophins in ethanol-induced brain damage.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401-414

Walker DW, King M, Hunter BE(1993b):Altera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hippocampus after long-term ethanol consumption. In:Alcohol-Induced Brain Damage, Ed by Hunt WA, Nixon SJ, Rockvill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p231-247

Weissenborn R, Duka T(2000):State-dependent effects of alcohol on explicit memory:the role of semamtic associations. Psychopharmacology 149:98-106